-
-
수학으로 들어가 과학으로 나오기 - 사고 습관을 길러주는 흥미로운 이야기들
리용러 지음, 정우석 옮김 / 하이픈 / 2025년 6월
평점 :
<수학으로 들어가 과학으로 나오기> 리용러, 정우석, 하이픈
* 출판사 협찬도서를 받아 서평단 자격으로 작성한 주관적인 리뷰입니다.
제목에서 느꼈던 것과는 좀 다른 구성이었지만 대체로 내용이 읽기 편하고 흐름 상 수학, 물리학, 생활과학에 대한 내용으로 수학과 물리학은 딱히 그 분야의 시간 흐름을 그대로 따른 것은 아니지만 대체로 연관성을 가지고 설명하고 있어 전체적인 흐름을 따라가기 좋았다.
수학에 대한 이야기에서 공부깡패라는 단어로 시작해서 세번의 수학위기에 대해 이야기하는 것이 관심을 유도하기에 좋은 방법이라는 생각이 들었고 수학의 역사를 가볍게 한번 쭉 훑는 기분으로 읽을 수 있었다.
물리학은 에너지 분야에 초점을 맞춰 전기와 빛을 거쳐 양자역학까지 설명하는 과정이 이야기의 흐름을 따라가는 것에 자연스럽게 느껴졌다.
세 번째 단원인 생활과학분야는 특정한 흐름보다는 재미난 소재 하나하나를 발굴해서 흥미롭게 읽을 수 있도록 구성해 놓았다.
전반적으로 재미있게 잘 읽히면서도 중국의 과학 교양서 수준을 느껴볼 수 있는 책이라는 생각이 들었고 그만큼 중국의 과학기술 수준도 높다는 것이 현실감 있게 다가온 책이었다.
책에서 다루는 공식이나 이론에 대한 설명이 사실 이과생이 아니면 이해하기 어렵지 않을까 싶을 정도 마냥 쉽지만은 않은 책이었어서 더 그렇게 느껴진 것 같다.
아무래도 다른 문화권에서 쓰여진 책이라서 우리와는 관심사나 표현 방식이 다르다고 느껴지는 부분들이 있고 중국도 오랜 역사를 가지고 있고 고대와 중세에선 과학기술을 선도하던 곳 답게 수학에 대한 설명에서 중국에 대한 국뽕스러운 면들이 보이기도 했지만 대체로 서양의 과학사를 이야기하고 있어 재미있게 읽을 수 있었다.
지난 주 이번 주 접하는 책이 계속 중국 작가들의 책이다.
구성도 괜찮고 내용도 괜찮은데 전반적으로 조금 가볍다는 인상을 가진다.
중국 독서 시장도 우리와 비슷한 상황인 것일까?
무엇보다 많은 과학사와 수학사에 대한 책을 읽었음에도 매번 새롭게 느껴지는 부분들이 있는 것은 내 기억력의 한계인 것인지 나이가 들어가면서 기억을 잃어가는 것인지 헛갈리는 순간이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