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무시대 - 숲과 나무의 문화사 역사를 바꾼 물질 이야기 3
요아힘 라트카우 지음, 서정일 옮김 / 자연과생태 / 2013년 2월
평점 :
절판


#나무시대
#JoachimRadkau
2018년 66권의 책
_
크고 아름다운 석조 건축물 이집트 피라밋이나 그리스의 파르테논 신전, 로마의 판테온은 중동-유럽 문명의 위대함을 대변하는 듯하다. 반면 동시대 아시아 문명을 대표하는 석조 건축물은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은 자칫 열등함으로 비칠 수 있으나 환경의 차이가 만들어낸 착시일 수 있다.
_
예나 지금이나 지중해 근방엔 숲이 별로 없었다. 게다가 그 지역의 암석은 석회암, 사암과 같은 비교적 손쉽게 모양을 변형할 수가 있는 것들이다. 반면에 아시아 지역에 나무가 넘쳐난다. 이렇게나 조작이 쉬운 재료가 수두룩한데 미쳤다고 힘들게 돌을 깎는 고생을 할 필요는 없었을 것이다. 게다가 나무는 쉽게 썩고 쉽게 탄다. 오래된 목조 건물이 온전히 보전되어 있다는 건 기적에 가깝다.
_
라드카드의 이 책은 임업에 대략 20년 정도 종사한 분들만 관심을 가질 만한 책이다. 나무 베기, 운송 등 너무도 전문적이고 관슴없는 이야기라 한자 한자 읽는 일이 심히 곤욕이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얼굴은 인간을 어떻게 진화시켰는가
애덤 윌킨스 지음, 김수민 옮김, 김준홍 감수 / 을유문화사 / 2018년 2월
평점 :
품절


인간 얼굴의 이미지는 현대인의 삶 속에 넘쳐난다. TV에 나오는 이미지 중 99%가 인간의 얼굴이다. ‘동물의 왕국’ 정도의 프로그램을 제외하면 미디어엔 온통 인간의 얼굴뿐이다. 현대인들은 인간의 얼굴이라는 이미지의 감옥에 갇혀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얼굴은 인간을 어떻게 진화시켰는가
애덤 윌킨스 지음, 김수민 옮김, 김준홍 감수 / 을유문화사 / 2018년 2월
평점 :
품절


#얼굴은인간을어떻게진화시켰는가
#AdamWilkins
2018년 65권의 책
_
인간 얼굴의 이미지는 현대인의 삶 속에 넘쳐난다. TV에 나오는 이미지 중 99%가 인간의 얼굴이다. ‘동물의 왕국’ 정도의 프로그램을 제외하면 미디어엔 온통 인간의 얼굴뿐이다. 현대인들은 인간의 얼굴이라는 이미지의 감옥에 갇혀있다.
_
이 책에서 저자는 캄브리안 초기 동물의 얼굴 발생에서부터 척추동물-인간을 중심으로 얼굴이 진화하는 과정을 추적한다. 그것을 통해 인간 각 개체의 아이덴티티를 대표하는 얼굴이 어떻게 진화했는가를 보여준다.
_
얼굴의 기능에 대한 단서는 얼굴에 시각, 후각, 미각 이 셋의 주요 감각이 모여 있다는 것이다. 얼굴은 감각의 최전선이다. 다시 말해 얼굴은 먹이, 배우자, 잠재적 위협에 대한 필수 정보를 수신하는 장소이다.
_
거대한 사회를 구성하는 인간에게 얼굴은 자기 대표성을 띤다. 인간이 세상을 인식할 때의 가장 주된 감각이 시각이라는 것도 얼굴의 중요도를 더욱 크게 만들었다. 서로의 얼굴을 살피는 행위로 가능해진 인간의 ‘사회적 상호작용’이 얼굴의 신체적 특징 형성에 강한 영향을 주었으며, 표정이 더 풍부한 얼굴에는 사회 선택이, 더 매력적인 특징들에는 성선택이 작용했을 것으로 추측된다.
_
얼굴이 너무도 중요해진 인간들은 이제 스스로의 얼굴을 변형 시키는 단계에까지 이르렀다. 2017년 기준 세계 성형수술 시장의 규모는 20조 원(한국은 5조 원)에 육박한다.
_
제목이 먹음직스럽지만 실상 쉽지 않은 책이다. 윌킨스 이 분 내공이 상당해서 생물학, 유전학의 기초 없이 접근하기 상당히 어렵다. 머리 부러질라아구~
열혈 공부후 다시 도전해야겠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뒤통수의 심리학 - 속이는 자와 속지 않으려는 자의 심리 게임
마리아 코니코바 지음, 이수경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8년 4월
평점 :
절판


재작년인가 ‘뉴스페퍼민트’에 ‘아틀란틱’ 인터뷰가 하나 실렸다. 마리아 코니코바라는 스티븐 핑커의 제자로 주목받는 작가의 신작에 관한 이야기였다. ‘사기꾼을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요’라는 입맛 돋는 제목의 기사를 읽고 한국에는 언제나 이 책이 출간될까 기다렸고 드디어 책이 나왔지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4)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뒤통수의 심리학 - 속이는 자와 속지 않으려는 자의 심리 게임
마리아 코니코바 지음, 이수경 옮김 / 한국경제신문 / 2018년 4월
평점 :
절판


#theconfidencegame
#mariakonnikova
_
‘거짓말쟁이들의 심리를 파악할 수 있다면 속지 않을 수 있을까?’
_
작년인가 재작년인가 애독하는 ‘뉴스페퍼민트’에 ‘아틀란틱’ 인터뷰가 하나 실렸다. 마리아 코니코바라는 스티븐 핑커의 제자로 주목받는 작가의 신작에 관한 이야기였다. ‘사기꾼을 어떻게 구분할 수 있을까요?’라는 입맛 돋는 제목의 이 기사를 읽고 한국에는 언제나 이 책이 번역되어 출간될지 손꼽아 기다렸다.
_
원제 The Confidence Game으로 직역하면 ‘신뢰 게임’쯤 되는데 역시나 판매량을 위해 #뒤통수의심리학 이라는 날리는 제목으로 출간됐다. 어쨌든 간 번역 출판해준 것만도 감사할 따름이다.
_
이 책에선 코니코바가 수집한 역사적 사기 사례들이 예로 들며 왜 속이는지 그리고 왜 속는지에 대해 분석하고 있다.
_
그녀는 사기꾼의 조건으로 다음 세 가지를 꼽는다.
1.사이코 페시
2.나르시시즘
3.마키아벨리즘 (목적>수단)
_
학수고대한 것에 비해 그렇게 특별할 것이 없다. 그래도 예비 사기꾼들은 읽어보면 좋을 듯 (책에 예시로 든 사기 행각들은 결국 발각되어 대부분 철창행)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하하하 2018-08-30 14:31   좋아요 0 | 댓글달기 | URL
발각되지 않았으면 예시로 등장할 일도 없었겠지요. ㅎㅎ