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국인 전용복 - 옻칠로 세계를 감동시킨 예술가의 꿈과 집념의 이야기
전용복 지음 / 시공사 / 2010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한국인 전용복




  옻칠로 세계를 감동시킨 한국인, 일본에 여러번 귀화설득을 거절하고 끝끝내 한국인으로써 남기를 원했던 멋진 한국인의 이야기다. 사실 이 책을 접하기 전까지는 옻칠에 대해 잘 알지 못했다. 그저 그런 그림과 옷들이 있다는 얘기를 들었을 뿐이고, 실제로 그런 작품을 만나본적도 없기에 호기심이 강한 것이 사실이었다.




  칠예가인 전용복은 현대의 그림보다도 저 뛰어난 색을 자랑한다. 그는 단순한 철장이가 아니라 옻칠로 새로운 예술의 경지를 펼치는 진정한 또 하나의 예술인이 아닐까 싶다. 이 이야기는 그의 이야기다. 칠예가 전용복의 이야기 말이다. 독학으로 옻칠을 배운 전용복, 왠지 그를 보니 독학으로 건축을 배워 콘크리트 건축을 훌륭하게 이룩해낸 안도 다다오가 생각이 났다. 이것은 책이라고 하기보다는 조금 더 높은 가치를 인정받아야하지 않아야 되나 생각한다. 전용복의 그림과 작품들을 보고 있자면 굉장히 놀랍고 감동이지만, 그가 걸어온 길, 그가 남긴 발자취를 바라보며 드는 안타까움을 차마 말할 수 없을 지경이다. 그가 마지막까지 자신의 인생을 쏟아 부어 만들어낸 그것은 무엇이었을까.




  참 좋은 인생의 선배 같은 느낌이다. 가고자 하는 길에 모든 것을 걸었던 그였기에 지금의 칠예가 전용복이 있지 않았을까..싶다. 특히 메구로가조엔의 복원과 세계 최초의 옻칠 엘리베이터 이야기에서는 눈을 뗄 수가 없었다. 정겹기도 하면서 재미나기도 한 그의 인생이야기가 기대이상이었던 것 같다. 그리고 그가 완성한 시계를 보면서 꼭 한 번 차보고 싶다는 생각을 했다. 옻칠 문화는 우리에게는, 특히 요즘 시대에서는 거의 잊혀지고 있는 현실이다. 이제는 주목받지 못하면 사라지는 사회인만큼, 그는 옻칠 문화가 계속 이어졌으면 하는 바램으로 지금까지 노력해왔던 것이 아닐까. 한국의 뛰어난 옻의 세계를 많은 대중들에게 소개하면서, 많은 사람들에게 그 신비함을 깨우쳐주기 위해서가 아닐까. 나 또한 옻에 대해 알아가면서 참 신비하다는 생각을 많이 했다. 보존력이나, 색의 질감 면에서, 그리고 왠지 분위기 또한 독특해 옻의 관한 작품들을 직접 보고 싶어졌다.




  수많은 역경 속에서도, 전통적인 옻칠 문화를 살리기 위해 노력하고 지금까지도 그 길을 묵묵히 걸어가고 있는 칠예가 전용복 장인에게 정말 대단하다는, 존경스럽다는 이야기를 하고 싶다. 이것은 저자의 부끄러운 기록이 아니라, 많은 후손들이 봐야할 기록이 아닐까 싶다.


댓글(1)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아담바이러스 2010-06-24 13:53   좋아요 0 | 댓글달기 | 수정 | 삭제 | URL
리뷰 잘 봤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