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치유산업에서 길을 찾다 - 관광·음식·농업부터 산림·해양 치유까지 웰니스 트렌드
김재수 지음 / 매일경제신문사 / 2024년 5월
평점 :
치유산업은 치유농업과 산림치유 그리고 해양치유까지 가장 트렌디한 사업으로 부상하고 있습니다.
농업과 산림에 대한 치유에 관심이 있는지라 '치유'로 표현되는 웰니스 트렌드에 대한 개론적 성격을 가진 책자를 읽었습니다.
"치유산업은 국가의 균형발전을 선도할 '미래산업'이자
우리가 미래 세대를 위해 반드시 챙겨야 할 '생존산업'이기 때문이다."
_ p.5 들어가는 글에서
치유와 치료에 대한 개괄적인 설명과 현장의 의견을 중심으로 서문을 열었으면 이후는 각 산업별-관광, 음식, 농업, 산림, 해양- 치유산업에 대한 경과 및 현황에 대해 잘 설명하고 있습니다. 책자의 맨 마지막 뒷장에 있는 <참고자료>리스트를 보면 각 산업별 치유에 대해 각 행정단위의 부처별 연구자료를 섭렵하고 현장의 이야기는 신문기사를 참조한 것을 알게 됩니다.
5가지 소주제인 각 산업별 치유산업은 개인적으로 관심이 있는 분야인지라 정책의 경과에 대해 잘 알게 되었습니다. 현 정부의 국정과제이더라도 현실을 기반으로 하지 않는 정책은 현장에서 외면받기에 그간 양측의 전개 과정과 현황 그리고 입장에 대해 알게 되는 계기가 되었습니다.
저자는 치유산업의 앞으로의 과제에 있어 5가지를 제시하고 있는데, 그 중 각각의 개별 부처에서 독자적으로 운영하는 치유산업 관련 법들을 종합적으로 연계하고 운영할 수 있는 치유산업 전반을 총괄하는 가칭 '치유산업기본법'을 제정하자고 주장합니다. 또한 이와 더불어 치유산업을 전반적으로 이해하고 관리할 수 있는 '치유산업사'제도를 검토하자고 합니다.
책을 읽으면서도 각각의 분야에 대한 연계를 토대로 상호협력과 융복합을 할 수 있게하고 종합적으로 총괄해야 한다는 지점이 가장 와 닿았습니다. 치유산업의 궁극적인 목표가 인간의 건강 증진과 국가 경제 발전 목적을 달성해야 한다는 지점에 대해서는 공감하기 때문입니다. 치유산업으로 지방의 치유자원을 적극 개발해 일자리를 창출하면 지방 소멸에 대응할 수 있고, 초고령사회에서 인간다운 노후를 보낼 수 있다는 내용에도 동의합니다. (1장 치유산업이란? 에서 '앞으로의 과제'에서 발췌)
250페이지 가량으로 치유산업에 대한 개론적인 성격인만큼, '지금 읽지 않으면' 현재 진행되는 학계의 논의나 각 산업별 현장의 이야기에 대해 적절한 시의성을 잃을 수 있다고 보여집니다. 치유산업에 대한 개괄적이면서도 간략한 내용을 원하신다면 읽어봐도 좋겠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