한지돌이 전통문화 그림책 솔거나라 1
이종철 지음, 이춘길 그림 / 보림 / 1999년 5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정갈해보이는 문방사우가 그려진 표지가 제목과 잘 어울리는 책이에요.
"한지돌이"라는 제목에서 한지가 주인공이어서 이름을 한지돌이라 한건 아닐까 싶었답니다.

보림의 솔거나라 시리즈는 우리의 대대로 내려오는 문화와 전통을 담은 책이라고 할 수 있지요.

우리 문화 속에는 의식주, 풍속, 신앙, 예술 등 다양한 아이템이 가득한 만큼..

그 중에서 우리 문화를 대변해주고 특징적으로 표현해 줄 수 있는 것들을 소재로 삼지 않았을 까 싶어요.

어떤 책인지 한번 만나보기로 했답니다.

 

 

종이, 붓, 먹, 벼루로 일컬어지는 문방사우를 이야기 하면서 주인공 한지를 소개시켜주어요.

자연스럽게 한지가 이야기를 들려주는 방식으로 구성되어서

다소 아이들에게 딱딱하고 어렵게 느껴질 수 있는 내용들이 부담없고 재미있게 전달 될 수 있는 것 같아요.

먼저 종이가 왜 필요하게 되었는지..그 필요성부터 자연스럽게 이야기해주네요.

사람들이 좀 더 쓰기 쉽고 가볍고, 간직하기 좋은 것들을 찾다보니

종이가 발명되게 되었다는 것이지요.

 

여기서 먼저 종이가 만들어지는 과정들을 소개해주고 있어요.

간결하고 심플한 일러스트가 내용과 함께 좀 더 재미와 이해를 더해주고 있답니다.

저도 한지가 만들어지는 과정을 제대로 알지 못했는데 아이를 위한 그림책을 통해..

새롭게 알게 되었답니다. 그리고 왜 한지가 좋을까요?

사실 생각해 본적이 우리는 별로 없지요. 우리는 지금쓰는 일반적인 종이를 사용하지만

과거에만 하더라도 지금의 종이와는 많이 달랐지요.

그리고 다양하게 이용되었던 모습을 우리는 박물관이나 책 등을 통해 접할 수가 있어요.

요 책에서도 알려주고 있는데, 수공예품도 많이 있었고 문에 붙이는 용도로도 쓰이구요.

우리가 알지 못하는 다양한 쓰임새와 유용한 점에 대해서 그림과 함께 재미있게 풀어내었답니다.

정말 못만들어 내는게 없는 재주꾼 같은 한지네요.

 

마지막은 늘 우리의 곁에 함께 한다면서 찾아보라고 숨바꼭질을 하네요.

정말 종이의 소중함을 우리는 잘 모르는 거 같아요.

당장 뭐 하나를 메모하려고 해도!!

종이가 없으면 불편하게 마련인데 우리는 종이를 낭비하기도 하고 귀하게 생각하지 못하기도 한답니다.

이번 기회로 종이가 만들어지기까지 쉽지 않은 과정을 거친다는 거..그리고 정말 다양하게 유용한 방법으로

쓰인다는 것도 다시금 즐거운 책을 통해 느낄 수 있었네요.

 

책의 맨 뒷부분은 [엄마랑 아빠랑] 코너를 통해

우리 종이인 한지에 대해서 배우는 코너가 마련되어 있네요.

옛날 사람들은 어떻게 생각을 표현하고 기록했을까란 의문에서 시작되어서 간간히 사진과 함께 있답니다.

이 부분은 앞에서는 간단하면서도 아이를 위한 코너라면~

뒷 부분은 엄마 아빠들도 보고 난 뒤에 아이랑 함께 보면서 아이에게 종이; FONT-FAMILY: 957317_10">좀 더 심화해서 알려줄 수 있는 부분이랍니다.

4페이지에 걸친 구성 중에 인상 깊은 부분은

앞에서 일러스트를 통해 친근하게 한지를 만드는 과정을 봤었다면!

요 코너에서는 9개의 실사로 통해 종이 만드는 과정을 볼 수 있다는 점이지요.

좀 더 아이에게 심화를 시켜줄 때 요 부분을 활용하면 좋겠다라는 생각이 드네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