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서야 보이는 런던의 뮤지엄
윤상인 지음 / 트래블코드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술관은 언제나 설레는 단어이다. 공간도 책도 작품도 모두 마음을 뒤흔든다.

학교 다닐 때는 작품의 작가를 시험 보기용으로 외워야 해서 힘들었는데. 다행이다.

그렇다고 무얼 많이 알지는 못한다. 그래서 시간이 날 때마다 하나씩 관심을 두고 있다. 그러던 중에 만난 "이제서야 보이는 런던의 뮤지엄"이다. 책이 휘리릭 잘 넘어간다. 쉽지는 않지만 그렇다고 막 어려운 책은 아니다.

국민의 문화적 소양을 높이기 위해 무료로 공개하기 시작한 미술관은 200년 후 수많은 결과를 내고 있었다. 내 관심을 끌어당기는 것은 시스틴 채플의 테피스테리와 그레라는 작품이었다. 테피스테리의 제작방법이 신기했다.

또 그네라는 작품을 소장한 월레스 컬렉션의 작품도 인상 깊었다. 예전에 책에서 읽은 적이 있었는데 또다시 보니 신선하다. 여성을 정절을 상징하는 신발이라니.

게다가 불륜을 주제로 담고 있는 이야기를 보면서 그림 속 세상을 상상해 본다. 그 당시에도 현재에도 삶은 어떻게 살아야 하는가는 인간에게 던져진 끊임없는 물음이다.

국립 미술관의 지향점을 생각해 보았다. 모두를 위한 미술관으로 나아가는 것. 미술관은 지식인에게, 부자들에게만 허용된 공간이 아니었다. 나만을 추구하는 세상에서 함께와 모두라는 존재가치는 특히 빛을 발한다. 모두가 함께 즐기는 미술관을 지향하는 런던의 미술관 정책이 시대와 시간을 쌓으면서 수많은 예술가의 탄생을 재촉했을 것이다.

처음 들어본 미술관도 또 기존에 들어보았던 미술관도 있었다. 미술관을 상상 속에서 방문하며 작가와 같은 시점이 되어 즐겁게 산책했다. 영국 런던의 작품을 만나러 떠나려면 어떻게 하면 될까?

영국 런던을 방문할 꿈을 꾸어본다. 하지만 현실에서 이룰 수 있는 것이 먼저이다. 미술 작품을 해설한 책을 꾸준히 읽고 가까운 미술관을 방문하며 내적인 힘을 길러 어느 날 훌쩍 떠났을 때를 대비하는 것이다.

즐거운 책 읽기는 당신에게 미술 앞으로 한 발 이끌어줄 것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