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 왕, 그리고 리더십 - 개인과 조직을 이끄는 균형의 힘
김윤태 지음 / 성안당 / 2023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조선을 이끌어가며 나라와 백성을 위해 애를 쓴 9명의 왕과 그들의 리더십이 담긴 책"조선 왕, 그리고 리더십"을 읽었다. 조선시대는 우리가 많이 알고 있어서 읽는 사람들에게는 흥미롭다. 우리의 배경지식과 결부되어 새로운 지식을 찾아보는 시간이었다.

조선 왕 중에 좋아하는 인물은 누구인가? 우리나라 사람들이 좋아하는 인물로 예전의 통계에서는 세종대왕이었다. 당신은 어떠한가? 태조 이성계, 태종, 세종, 세조, 성종, 선조, 광해군, 영조, 정조의 리더십을 다루고 있는 책 속으로 들어가 보자. 내가 좋아하는 인물은 정조이다.

정조와 정약용 그리고 규장각의 젊은 학사들을 이야기하지 않을 수가 없다. 뛰어난 리더에게는 그 리더를 뒷받침하는 수많은 사람들이 있었다. 정조의 사후 그 많은 인물들은 모두 어디로 갔을까? 서로 영향을 주고받았던 시너지를 만들어냈던 그들은 정조의 죽음 이후 설자리를 잃었다. 얼마 전 다산초당을 찾았다. 광덕산 아래 초당에서 저술에 힘쓰고 후학을 양성했던 다산을 상상했는데 정조대왕이 없었다면 그 인재들을 적재적소에 배치할 수 있었을까? 게다가 그렇게 헌신적으로 자신의 일들을 수행했을까?

신하들과 함께 창덕궁 후원을 거닌 유일한 왕은 누구일까? 정조라고 한다. 이런 일이 없었다니 신기하다. 규장각에 근무하는 30여 명의 신하들을 불러 옥류천으로 데리고 갔다고 한다. 단 한 명의 신하도 출입한 적이 없었던 왕의 공간에 들어간 신하들의 감동은 말로 표현하기 힘들 것이다.

강세황은 그의 글에서 이렇게 남겼다. "조선 건국 이래 최초로 옥류천에 들어가 너무 영광스러워 이 역사적인 사실을 후손에게 알리기 위해 이 글을 남긴다. " 지금도 아름다운 그곳에서 왕가의 사람들만 드나들던 그 시절을 상상해 본다.

막강한 권력을 가지고 있지만 개인사로 볼 때 그 삶은 어떠했을까? 리더의 길은 외롭다고 했는데 백성에 대한 사랑인 애민을 끊임없이 실천했던 것은 사실이다. 왕이 왕답게 산다는 것은 백성들과 어우러져 그들을 바라보고 삶을 나아지게 만드는 것이었는데 국가경영을 위한 그들의 리더십을 볼 수 있는 책이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