새로운 시대 조직의 조건 - 대한민국 100대 기업들이 열광하는 조직문화 솔루션
김미진.조미나.최철규 지음 / 위즈덤하우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내가 몸담고 있는 조직은 어떠했으면 좋겠는가? 현재의 모습이 만족스러운가? 조직의 다양한 모습을 느껴볼 수 있는 책"새로운 시대 조직의 조건"을 읽었다.

재미있는 직장 생활을 하고 있는가? 단지 월급을 받기 위해서만 일하는 직장이 아닌 삶의 보람을 느끼게 하는 직장을 찾아 열심히 일하고 있다는 것은 참으로 성공적이다. 지금 나의 직장은 어느 정도 충분조건을 만족시킨다. 보람도 있고 월급도 어느 정도 만족한다. 그런데 여기에 변신을 넣고 싶다. 책에서 읽은 것 중에 가장 만족스러운 것 그리고 평소에도 내가 추구하는 가치와 맞닿아 있는 재미라는 요소이다.

재미를 키워드로 조직 문화를 이야기하고 있다. 1년에 한 번 느끼는 행복도 좋지만 소소한 행복이 자주 반복된다면 어떠할까? "행복은 기쁨의 강도가 아니라 빈도라고 한다" 그래서 좋은 조직 문화에서는 다양한 이벤트를 통해 소소한 행복을 느끼게 한다고 한다. 그래서 제시한 방법이 쪼개기, 경험하기, 놀라게 하기, 역공하기이다. 행복한 감정을 느낄 수 있는 행사를 쪼개어서 개최하는 것이다. 그리고 공연을 관람하고 여행하는 등 경험하는 문화, 예상하지 못한 이벤트를 하는 것이다. 아침에 출근했는데 "오늘은 특별히 오전 근무만 합니다"라고 한다면 어떨 것 같은가?

한 번 두 번이 아니라 주기적으로 기획한다는 것이 참으로 힘들기도 하겠지만 사람들은 큰 것도 좋아하지만 작은 것에서도 행복을 느낀다. 방법적인 다양한 것들이 함께 한다면 애사심을 높이는데 많은 기여를 할 것 같다.

이런 회사 다니고 싶다.

그리고 소통이 되는 조직에 몸을 담고 싶다. 소통이라고 본인들은 생각하지만 소통이 아닌 경우가 너무 많다. 일방통행인데 결국은 이해가 아닌 오해의 상황을 만들고 만다. 같은 조직 안에서 서로를 이해할 수 있는 환경은 누구나 꿈꿀 것이다. 조직이라는 딱딱한 단어에 말랑말랑한 다양한 내용들이 들어 있어서 많은 도움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조직이라는 것이 꼭 일터만을 이야기하는 것이 아니니 다양한 조직에서 접목해서 활용할 수 있을 것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