이제 그런 말은 쓰지 않습니다 - 더 나은 내일을 위해 새로고침이 필요한 말들
유달리 지음 / 포레스트북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가 만나는 사람들에게 말로 상처를 당해본 적이 있는가? 아마 대부분의 사람들이 타인의 입을 통해 무심코 흘러나온 말에 피를 흘려본 적이 있을 것 같다. 내가 주기도 하고 당하기도 한 그래서 더욱더 조심해야 할 우리들의 말은 무엇이 있을까? "이제 그런 말은 쓰지 않습니다"를 읽으면서 내 말을 점검해 보았다.

"어른스럽다"라는 말은 남들보다 의젓하고 사고의 폭이 깊은 어린이에게 말했던 말이다. 이제는 이 말의 오류가 무엇인지 알았다. 우리의 고정관념에는 어린이는 미숙하다는 전제를 깔고 있다. 그런데 어른이 되면 모든 것이 완벽한가? 어른도 올바르지 않는 사람들이 수없이 많다는 것이다. 그럼 우리는 어떻게 칭찬을 하면 될까? 행위에 대해 생각이 깊고 훌륭하다고 그냥 평가해 주면 된다고 저자는 말한다.

몰래카메라와 이경규 씨는 너무나 즐거웠다. 그런데 그 이면을 보지 못했다. 아니면 안 보려고 했는지도 모르겠다. 한 사람을 바보로 만드는 행위를 우리는 보고 있었다. 주인공의 동의를 얻지도 않은 채로. 불법 촬영이라는 저자의 표현이 맞다. 장난으로라도 포장을 하려고 해도 말이 안 된다. "음란물과 불법 촬영물"을 읽고 그 말을 논리적으로 따져보지 않고 사용했다는 반성을 했다. 음란물에 음란한 대상은 음란하고 싶어서 한 것이 아니다. 그 대상자는 결국 피해자이다. 피해자를 음란하다고 규정을 했다. 강제성에 의해 어쩔 수 없는 선택을 강요당했을 뿐인데. 그렇게 원인과 사건을 만들고 불법으로 찍어서 판매를 한 사람에게 낙인을 찍지 않았다.

보호해 줄 가치조차 없는 그런 인간에게.

아동 성매매는 아동 성 착취로, 아동 포르노그래피는 아동학대 자료로 불러야 한다고 말한다.

그냥 흔하게 누구나 사용한다고 해서 무비판적으로 수용해서는 안 된다. 올바르지 않은 말은 누구에게라도 상처를 남긴다. 그 상처를 우리 또한 피해 갈 수 없다. 올바른 언어를 사용하고 있는지 지금이 바로 자신을 돌아볼 시간이다.

사례 중심으로 다양하게 제시되어 있어서 이해가 쉬웠다.

부모와 장애인에 대한 생각 또한 마음에 남았다. 진지하게 읽고 나의 습관을 하나씩 바꾸어보자.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