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라시아의 중심국 카자흐스탄 이야기
전승민 지음 / 들녘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라명에 끝에 오는 ~스탄이라는 이름이 예전에는 참 신기했다. ~스탄이라고 붙은 나라가 내 기억 속에 3곳이라고 생각했는데 키르기스스탄, 우즈베키스탄, 카자흐스탄 이렇게였다. 그런데 검색을 하니 정말 많다. 파키스탄, 아프가니스탄 등이다. 접미사로 스탄은 지방이나 나라를 뜻하는 페르시아 말이라고 한다. 생소한 나라인 카자흐스탄 이야기를 책을 통해 접했다.

카자흐스탄은 신기하게도 우리나라와 밀접한 관련이 있다. 바로 고려인을 생각하면 된다. 구소련 지역에 살고 있는 우리 동포로 조선인이다. 시베리아 횡단철도에 실려 강제 이동해 정착한 지역이 카자흐스탄이다. 고려일보라는 신문을 통해 카자흐스탄과 비로소 인식했었다. 한글로 적힌 고려일보를 보면서 아이들이 많이 신기해했다. 그리고 영상을 통해 고려인의 삶을 살펴본 적이 있었다. 그런데 실상은 고려일보 경우에 대부분의 지면이 현재는 러시아어로 작성되고 일부 지면만 한글이라고 한다.

카자흐스탄은 에너지와 광물자원이 많고 실크로드, 미녀의 나라, 고려인이 사는 나라, 우리나라와 친연성이 있는 나라, 영토가 큰 나라로 인식되고 있다. 유라시아를 주름잡았던 유목민들이 살았던 나라이다. 그래서 정착생활보다 이동생활을 했기에 그들의 고유 기록물이 많지 않아 주변국의 기록에 의존하고 있다니 참으로 안타깝다. 같은 홍산문화에 속하는 이 나라의 역사와 문화 음식 등을 이 책에서는 자세하게 다루고 있다. 정말 카자흐스탄이라는 나라를 책 한 권으로는 처음 만났다. 거의 알 수 없었던 새로운 나라의 음식과 음악 그리고 이슬람 종교 등을 보면서 신기했다. 또 우리가 스키타이, 흉노, 동궐, 킵차크, 몽골 등 수없이 많이 세계사에서 만났던 유목민을 책에서 만날 것이라고 상상하지 못했다. 칭기즈칸, 유르트, 전통놀이와 의상까지 그들의 삶이 나에게 가까이에 다가오는 경험을 한 시간이었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급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