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일의 세계 - 지금 여기, 인류 문명의 10년 생존 전략을 말하다
안희경 지음 / 메디치미디어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우리 문명의 현주소는 지금 어디쯤일까? 엄청난 과학의 발전은 수많은 문제를 야기했다. 발전은 사람들을 편리하게 했지만 이면에는 무수한 잠재적인 위협을 내포하고 있다. 그 안에서 우리와 후세대는 끊임없는 발전을 지속하며 살아가야 한다. 하지만 지구는 더 이상 계속 우리를 받아줄 수 없다. 당장 우리 앞에 당면한 문제를 생각하며 생존을 위해 우리가 할 일은 무엇인가? "내일의 세계" 가 담고 있는 책의 내용이다.

지구적 위험의 대표적인 것은 코로나 바이러스이다. 이 대표적인 위기를 벗어날 방법은 무엇인가? 우리에게만 해당하는 것이 아니라 세계 모든 나라가 그 대상이며 지구적 문제 해결을 해야 하는 그 토대의 출발이 될 것이라는데 동의하시는가? 가장 시급한 위기를 찾는 사고에서 벗어나자는 말은 인상적이었다. 가장 시급한 문제를 찾는 그 일을 피하라고 말한다. 누가? 제러드 다이어몬드... 다급하게 대응할 문제 네 가지를 말하고 있다. 그는 핵무기 위험, 기후변화 위기, 자원 고갈 문제, 그리고 불평등을 말한다. 이 중 하나라도 시급하지 않은 문제가 있는가? 모두 해결해야 할 우리의 문제. 그 위기를 돌파하기 위해 전력을 다한 행동이 뒷받침되어야 한다는 저자의 말에 공감한다. 그는 2050년을 붕괴의 시간으로 잡고 있다. 그의 이론은 틀린 것이었으면 좋겠지만 너무 무분별하게 살아온 우리의 태도를 볼 때아니라고 강하게 말하지 못함이 안타깝다. 그가 제시한 시간을 최대한의 노력을 투입해 생존 전략을 구출할 수 있을 것인가?

책을 읽다가 이 문장에 주목했다. "나의 소비는 조만간 쓰레기가 되어 지구 어딘가에 축적된다"라는 문장이다. 오늘도 얼마나 많은 쓰레기를 만들었던가? 이 어려운 문제를 어떻게 풀어야 하는지? 덴마크의 예는 적용하고 싶었다. 유리병에 모든 음료를 담아서 판매하는 방법이다. 재사용 법을 규범하고 95%가 재활용된다고 한다. 플라스틱 속에서 살고 있는 우리는 깨끗한 것, 좋은 것만 찾고 새것만을 좋아하지 않는가? 환경을 위해 우리는 무엇을 해야 할까?

괜찮겠지라는 관성에 젖어 계속 그렇게 살아간다면 ... 무슨 일이 생길지 두렵다.

7명의 석학들에게 물어본 생존 전략을 담고 있는 책으로 우리 한국 사회에서 논할 문제도 포함되어 있다. 우리의 선택은 지금에 주목해 변화를 이끌어가야 할 것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