퓰리처 글쓰기 수업 - 논픽션 스토리텔링의 모든 것
잭 하트 지음, 정세라 옮김 / 현대지성 / 2021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글쓰기를 내가 원하게 될지 몰랐다. 글쓰기 도서가 서평 모집란에 올라오면 언제든지 신청하게 되었다. 무슨 일인가? 서평을 작성하면서 다양한 책을 만나고 그 책을 통해 즐거움을 누리다 보니 나도 쓰고 싶어졌다. 그래서 시도 쓰고 일기도 길이가 점점 길어지고... 변화를 겪는 중이다. 퓰리처 글쓰기 수업을 받고 나의 글은 또 어떻게 변할까?

아주 근사한 글은 아니더라도 조금이라도 겁 없이 쓸 수 있게 되었다는 것이 책을 읽으면서 생긴 장점이다. 그냥 나오는 대로 작성하다 보니 두려움은 조금씩 사라졌고 지금은 한 문장을 조금 더 고심하는 모습을 보인다. 일상에서 글쓰기 소재가 다양하다고 작가들마다 이야기한다. 난 잘 못 찾겠다고 할 수도 있다. 나도 그랬다. 그런데 하나씩 주변을 자세히 둘러보라고 말한다. 어디에도 스토리는 숨어있다. 그 스토리에 힘을 실어주는 것이 당신일 수도 있고 아니면 텔레비전 드라마의 작가 혹은 베스트셀러 작가이기도 하다. 독자의 흥미를 불러일으키는 스토리는 무엇일까? 당연히 자꾸 글을 써보아야 발전이 있다. 우리는 모두 잠재적 스토리텔러라고 저자는 말한다. "인생 자체가 인상적인 장면과 액션 스토리로 넘쳐 나는데 들려줄 이야기할 두 개쯤은 없을 리 없다"라고 말이다. 그렇기는 하다. 우리가 얼마나 공개할 수 있을지의 문제가 남아 있을 뿐이다.

스토리는 구조가 있다. 그 구조를 예전에 학교 수업에서 배웠지만 글은 나랑 친하지 않아서 잊고 있다가 상기했다. 전체 구조를 가지고 설계도를 그려서 하나의 일관된 방향으로 나아가는 것은 중요하다. 글이 산으로 가지 않고 원래 길로 제대로 가는 것 말이다. 발단, 상승, 위기, 절정(해결), 하강(대단원)의 단계를 거치면서 우리를 들었다 놨다 신나게 만들고 안도하게 하는 그런 이야기를 보면 우리는 잠을 잘 수 없다. 이야기의 매력에 끌려 주체할 수 없으니 말이다. 그런 이야기를 쓰고 싶다면 이 책을 읽어보기를 제안한다. 본문이 어떻게 변화해 가는지를 느껴보면서 글의 맛에 빠지는 시간을 보내게 될 것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