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류, 이주, 생존 - 더 나은 환경을 찾아 인류는 끊임없이 이동한다
소니아 샤 지음, 성원 옮김 / 메디치미디어 / 2021년 7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인류는 왜 이동을 했을까? 아프리카에 처음 정착한 오스트랄로 피테쿠스는 왜 그곳에서만 살지 않았을까? 채집 생활을 하면서 먹을 것을 찾아 이동 생활을 했다고 선사시대를 그렇게 말해왔다. 대륙이동설로도 설명하는데 정말 인류의 이동은 무엇 때문이었을까? “인류, 이주, 생존”을 읽으면서 생각해 보는 시간을 가져 보기를 바란다.

지금도 인류의 이동은 계속되고 있다. 내부 환경과 외부 환경의 변화로 인해 더 이상 정착을 할 수 없는 사람들은 우리의 몸에 새겨진 이동 본능에 따라 생존을 위한 몸부림을 시작했다. 우리뿐만 아니라 자연계 또한 생존을 위해 이동을 했다. 더 나은 환경을 찾아 나선 인류 앞에 다양한 위기가 있는 것이 아니라 기회라는 것을 저자는 말하고 있다.

제주도의 예멘 난민을 어찌 생각하는가? 우리의 땅이라고 소유권을 확실히 주장하는 대한민국과 많은 세계의 다양한 나라는 예전에 경계가 없었다. 인류의 정착 생활과 힘 그리고 소유가 국경을 나누고 각자 영역을 규정하며 발전해 왔다. 우리가 난민이 아니라서 이들의 제주도 정착을 반가워하지 않았다. 그런데 내외적인 요인에 의한 난민의 문제를 어떻게 보아야 하는가? 우리들이 난민이라면 입장이 또 어떻게 달라질까?

이동과 관련한 자연계의 변화도 흥미롭다. 환경의 파괴로 인한 서식지의 변화 앞에서 생존을 위한 다양한 몸부림을 이 책을 통해 느낄 수 있을 것이다. 환경 파괴와 기후변화의 원인을 제공하는 우리들의 삶은 돌아봐야 할 때이다. 지금 기후 재앙을 뉴스에서 말하고 있다. 어디까지 우리는 이동할 수 있을 것인가? 위기라고 인식하면 위기일 것이고 지금이 변화를 위한 기회라고 인식한다면 또 다른 역사를 우리는 쓸 수 있을 것이다. 어떤 선택을 할지는 이 글을 읽고 있는 당신의 몫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