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이토록 매혹적인 고전이라면 - 한번 빠지면 헤어 나올 수 없는 고전 읽기의 즐거움 ㅣ 서가명강 시리즈 15
홍진호 지음 / 21세기북스 / 2021년 2월
평점 :
서가명강 시리즈 15번 서울대학교 독어독문학과 교수 홍진호 님의 작품 “이토록 매혹적인 고전이라면”을 읽었다. 고전이 주는 매혹을 느껴보았는가? 아마도 그랬지 않았을까? 물론 두꺼운 책 사이에서 길을 잃고 헤맨 적도 많지만 좋아하는 고전 몇 권은 있다.
이 책에서 소개하는 작가는 헤세, 괴테, 호프만스탈, 카프카이다. 네 사람 중에서 호프만스탈은 처음 들어본 작가이다.
헤르만 헤세는 나의 최애 작가이다. 몇 해 전 여름 민음사 문고를 모두 꺼내 헤세의 작품만을 쌓아두고 읽었다. 지와 사랑, 수레바퀴 아래서, 데미안, 싯다르타, 유리알 유희 외에 몇 권이 더 있었다. 떠올리면서도 즐거운 헤세의 작품세계를 서가명강에서 만나니 반갑다. 책을 읽으면서 보니 내가 헤세를 제대로 이해했는지 모르겠다. 고전의 해석에는 세심한 독서와 성찰이 필요하단다. 왜냐하면 줄거리 이면에 무언가를 숨기는 것이 대부분이기 때문이다. 연령별로 읽었을 때의 느낌이 달랐다. 내면의 진정한 자신과의 만남은 참으로 어려운 일이다. 자신을 들여다보고 자신을 알아가는 일이 아직도 힘이 들기 때문이다.
젊은 베르테르의 슬픔은 번역상의 오류로 이러한 제목이 붙여졌다고 한다. 일본식 표기 관습에 영향을 받은 국내 독일어 번역자가 많지 않은 시절 영어와 일본어 번역으로 또 우리의 한글로 번역되면서 만들어진 제목이다. 평범한 나로서는 도무지 알 수 없었다. “젊은 베르터의 고통”이 올바른 제목이라고 하니 고쳐서 불러야겠다. 우리나라 영화에서 번역되어서 붙여진 제목처럼 맞지 않는 옷을 입고 있었다. 재미있는 것은 250년 전 영조 시대에 쓰인 연애소설이라는 것이다. 아직도 사랑을 받는 고전으로 우리에게 익숙하다. 우리의 10대에 한 페이지를 장식했던 책을 만나니 반가웠다. 그리고 몰랐던 그 안에 숨겨진 진실을 다시 보는 계기가 되어서 더욱 좋았다. “단 한 문장도 허투루 쓰인 것은 없다”란다. 참 아름다운 말이다. 쓸데없는 말을 많이 하는 우리들의 세상에 던져주는 메시지가 확실한 문장이다. 괴테의 초상화가 인쇄된 엽서가 실려 있었다. 아름다운 외모에 놀라움이 더해졌다. 안 가진 것은 무엇인가?
독일의 유미주의와 호프만스탈의 이야기는 흥미롭다. 유미주의가 생각보다 참 재미있었다. 유미주의가 내포하는 이상적인 관점이 재미있었고 호프만스탈을 잘 알지 못했던 것은 이유가 있었다. 호프만스탈의 작품이 대부분 희극이고 독일어 소설이 시와 같은 아름다움으로 표현되었다고 저자는 말했다. 번역에서 제대로 잡을 수도 없을 것 같다. 고유한 언어가 주는 매력을 100% 발산하는 것은 어려울 것이니 당연하다고 해야 할까? 카프카는 나만 어려워했던 것이 아니었다. 카프카 작품을 이렇게 말했다. “입구와 출구가 여러 개인 미로와 같다. 환상 문학과 카프카의 변신을 보면서 다시 카프카를 만나보고 싶어졌다.
전문가적인 견해에서 출발한 고전 읽기를 보면서 책 읽기에 대한 또 다른 생각을 가져본다. 내가 보지 못했던 다양한 배경을 알게 되어서 좋았는데 책을 읽으면서 모든 책을 이렇게 분석할 수는 없을 것이다. 나에게 맞는 나의 방식을 찾으면서 고전을 읽어보기를 스스로에게 말해본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