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치매, 제대로 알아야 두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다 - 2021 세종도서 교양부문
와다 히데키 지음, 조기호 옮김 / 리스컴 / 2021년 1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214/pimg_7701982862841065.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214/pimg_7701982862841067.jpg)
치매에 관한 것은 주로 드라마를 통해서였다. 정확한 정보가 없는 상태에서 치매는 무서움을 동반했다. “치매, 제대로 알아야 두려움에서 벗어날 수 있다”에는 유용한 정보가 잔뜩이다.
치매에 대한 궁금증을 모두 풀어주며 예방법까지 만날 수 있으니 기대하시라.
나이가 들면서 치매는 노화의 하나로 누구나 걸릴 수 있는 질병이라고 한다.
연령이 증가할수록 치매 유병율이 증가하는데 90세 이상에서 약 60% 비율로 치매가 나타난다고 한다.
이 좋은 세상에서 장수하고 싶은 우리의 욕구 앞에서 치매를 어쩌면 좋을까?
치매에 걸리면 아무것도 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저자 와다 히데키는 “할 수 있는 일이 줄어드는 것”이라고 말했다. 모든 능력이 전부 떨어지는 것이라고 생각했는데 모르면서 안다고 생각했다. 치매에 걸리면 배회를 하다가 미아가 되는 경우도 전체 10% 정도로 라고 한다. 치매에 걸린 모든 사람의 증상이 그런 줄 알았다. 또 밥을 먹고 나서 잊고 또 달라고 하는 것도 마찬가지였다. 사실은 책을 읽어보니 아니었다.
치매는 알츠하이머와 동의어로 나는 생각해왔다. 그런데 치매의 종류 중에 하나였다. 치매는 4가지 유형이 있는데 알츠하이머형, 전두측두형, 레비소체형, 뇌혈관성 이라고 한다. 치매의 진행은 천천히 느린 속도로 그리고 증상이 나타날 때까지 20년 이상 걸린다고 한다. 약으로 증상을 일시적으로 억제, 진행을 어느 정도 늦추게 할 수는 있다고 한다. 또 치매를 늦추게 하는 것은 다른 사람과의 교류이다. 대화를 하면서 뇌가 자극을 받아 활성화되기에 교류를 많이 하라고 저자는 말한다.
치매의 대표적인 증상은 배회, 폭력, 폭언이라고 한다. 망상 또한 자주 일어나는데 “도둑망상”이라고 재미있는 표현이 있었다. 지갑이나 통장을 누가 훔쳐갔다라고 말한단다. 이러한 경우는 들어본 적이 있다. 현금을 많이 가지고 장사를 했던 할머니가 딸을 보면서 내돈을 훔쳐갔다고 그렇게 자주 번번히 말을 했다고 들었는데 그러한 경우였다.
치매를 늦추려면 어떻게 하면 좋을까? 기초 지식, 증상, 대책, 실천 편까지 한 권이면 치매를 제대로 이해하는 시간이 될 것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214/pimg_7701982862841063.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