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정신장애 아들을 둔 아버지입니다 - 아무에게도 말할 수 없었던 20년간의 처절한 삶의 기록
설운영 지음 / 센세이션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부모라는 이름을 다시 생각해 보는 책 “나는 정신장애 아들을 둔 아버지입니다”를 읽었다. 설운영 저자의 실화를 바탕에 둔 20년간의 처절한 삶의 기록이 고스란히 들어가 있다. 사실 20년을 한 권의 책 속에 다 담을 수조차 없다. 그 오랜 시간을 살아낸 저자와 가족들 그리고 아들은 참으로 멋지다.

자식이라는 이름으로 행해지는 모든 것은 항상 부모에게 근심과 걱정을 안겨준다. 작은 티 하나도 부모 눈에는 커다란 들보인데 정신적 장애는 어떠했을까? 처음 부모가 되어 겪었던 혼란의 시간들을 생각한다면 조금이라도 이해할 수 있을까? 어린 아기를 어찌할 바를 몰라 했던 초보 맘 시절이 떠오른다. 절박함이라는 단어는 참 무섭다. 자식과 결합된 절박함이라니 올곧게 자신을 지켜내기도 힘들었을 것 같다. 그런 상황에서 자식을 챙겨야 하니 아파도 아파할 수조차 없었을 것이다.

조현병이라고 부르는 정신장애는 예전에 정신분열증으로 불렀다고 한다. 두뇌 속의 호르몬 분비물질 도파민과 세로토닌이 정상적으로 분비되지 않았을 때 발병하는 병이라고 한다.

확실하게 규명된 원인도 없고 꾸준한 약 복용과 별도의 재기 훈련이 필요하다고 말한다.

어느 날 갑자기 아무 예고도 없이 다가온 조현병은 아이의 정신을 갉아먹었다고 한다.

“나와 아내는 알지 못했다.”라는 말을 들으면서 더 안타까웠다. 민감한 부모와 그렇지 못한 부모는 당연히 대응도 다를 수밖에 없다. 자식 일에 민감하고 싶지만 잘 관찰하지 않으면 우리는 믿고 싶은 대로 믿게 된다.

잘 해낼 것이라고... 내가 나의 일을 열심히 하면 자식도 좋은 본보기가 되어 그렇게 행할 것이라고. 아무 이유 없이, 예고 없이, 소리도 없이 그렇게 다가온 질병이다. 조현병 증상이 사람마다 다르다고 한다. 그러니 처방도 당연히 다르다. 환청, 환시, 환촉, 환미, 환취 등 프리즘을 투과하면 다양한 색이 나타나듯 조현병도 그렇단다. 그래서 조현병 스펙트럼이라고 한다.

현대 사회에는 기존에 들어보지 못한 수많은 병이 계속 생겨나고 있다. 개인의 문제인가? 개인이 이 모든 것을 이겨내는 것은 너무 힘들다. 저자 또한 사회적인 동참을 요구한다. 부모가 자식을 어찌 키웠길래?라고 말할 수 없다. 같은 부모이면서 그렇게 처참한 말을 한다는 것은 이해하기 힘들다. 주변의 시선과 힘든 과정을 이겨낸 아들과 가족들에게 폭풍 박수를 보낸다. 게다가 정신장애 가족들을 만나면서 도움을 주고 공동체를 통해 정신건강가족학교를 이끌고 있다니 놀랍다. 함께 살아가는 존재인 우리들이 더욱 많은 관심을 가질 수 있게 책으로 출간되니 다행이다. 조현병에 대한 이해를 높일 수 있는 계기가 되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