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헤드라인 쇼퍼 - 읽고 싶어지는 한 줄의 비밀
박용삼 지음 / 원앤원북스 / 2021년 1월
평점 :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126/pimg_7701982862816967.jpg)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126/pimg_7701982862816969.jpg)
종이 신문을 만나본 지 오래되었다. 활자를 앞에서 뒤까지 앉아서 열심히 읽을 때 헤드라인을 보고 기사를 골랐다. 강렬한 헤드라인의 의미를 곱씹으면서.
지금은 인터넷 뉴스 속에서 클릭한다. 물론 그 기준은 헤드라인이다. “헤드라인 쇼퍼”는 헤드라인을 생성하고 소비하는 우리들을 말한다. 읽고 싶어지는 한 줄에는 어떤 비밀이 숨어 있을까?
토끼 100마리가 우리를 향해 뛰어오고 있단다. 저자는 정보의 홍수 속에 놓인 우리의 모습을 이렇게 말하고 있다. 이런 일이 일어나면 어떻게 해야 할까? “한 놈만 팬다”가 정답이란다. 동의하시는가? 골라서 쏙쏙 읽어야 한다.
버릴 것은 버리고 취할 것은 취하는 방법을 사용해보자.
헤드라인에 주목해 종합 일간지 3개, 경제전문지 1개를 더해 1년 8개월의 뉴스를 살펴본 2천일의 노력이 이 책 안에 들어있다. 총 70개를 엑기스를 뽑아서 구성했단다. 유쾌하고 유익하고 참신한 그리고 궁금하고 심오한 헤드라인이 모여있다.
헤드라인으로 기사를 골라 생각을 곁들이고 비슷한 뉴스를 찾고 세팅을 완료해서 하나의 주제가 되었다.
2019년 1월 1일부터 2020년 8월 31일까지의 일어난 일을 보면서 시사에 참 둔감했던 나 자신을 떠올렸다. 세상 사는 일에 관심을 가진다고 했는데도 생소한 기사들도 많았다.
헤드라인이 톡톡 튀는 맛이 있다. 대표하는 한 줄을 만들기 위해 고심의 흔적이 느껴졌다. 코로나와 재택근무 기생충, 토트넘, 비대면 수업 등 하나의 소제목들도 정말 이야기가 많은 소재였다.
글쓰기에 헤드라인과 뉴스는 많은 도움이 되었다.
헤드라인을 통해 핵심을 상상할 수 있는 언어로 만들고 싶은 욕구도 생긴다.
글쓰기를 연습하는 그대에게 추천하는 책이다. 시사에 민감하지 않은 사람들을 위한 친절한 책으로 활용할 수 있겠다. 십인십색의 특색이 다양한 우리들을 위한 취향대로 골라 읽을 수 있는 책이다.
![](https://image.aladin.co.kr/Community/paper/2021/0126/pimg_7701982862816970.jp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