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의 미래
제임스 리카즈 지음, 안종설 옮김 / 해의시간 / 2020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원소 주기율표에서 금은 어떻게 표기할까?

Au 원자번호 79번이다. 반짝이는 금이 예쁘기만 했다면 지금처럼 관심을 많이 받았을까?

예쁨을 장착한 화폐로의 기능을 했기에 많은 사람들이 갈망했다고(?) 생각한다.

“금의 미래”는 어떠할까? 금을 과거에도 사람들은 중요하게 생각했지만 미래에도 관심의 대상이 될까? 저자 제임스 리카즈는 금에 투자하라고 한다. 그러나 전 재산이 아닌 포트폴리오의 10%를 말한다. 그 근거를 따라가 보자. 금을 좋아하지 않은 사람이 있을까? 금에 관심 있는 사람들은 모두 주목해 볼 만한 책이다.

미국은 금을 8000톤, 독일과 IMF는 3000톤의 금을 가지고 있다고 한다. 중국은 수천 톤의 금을 은밀히 사들이고 있단다. 왜 그들은 금을 가지고 있는 것일까? 궁금하다.

저자는 금을 국제통화시스템의 토대와 진정한 주춧돌로 본다. 금의 가치가 평가절하되고 있는 경우도 많지만 금은 아직도 지구상에 존속한다.

세계 각국이 준비자산(각 나라의 통화당국이 대외 결제를 위하여 보유하고 있는 자산)을 다변화하기 위해 금을 확보하려고 한단다. 그래서 그림자 금 본위제도를 향해 가고 있다고 저자는 말하고 있다.

우리나라는 얼마나 많은 금을 국가 차원에서 보유하고 있을까?

금 약소국과 금 강대국으로 산뜻하게 구분하고 있는데 우리는 금 약소국일까? 통화시스템이 붕괴되면 어떤 일이 생길까? 금 보유 정도에 따른 힘의 논리가 적용된다. 이렇게 된다면 금은 결국 돈이다. 그런데 그런 일이 생길까?

우리가 일상생활에서 금을 꾸준히 매입하는 사람이 얼마나 될까?

꾸준히는 아니지만 현물로 가지고 있기도 하고 금과 관련된 상품에서 보유하고 있기도 하다.

은행이 망하면 어떻게 할까?

1인당 5000만 원 한도로 예금자보호법이 적용된다. 그래서 금융 시스템이 흔들리면 대처할 수 있는 유일한 합리적 보험이 금이라고 저자는 말한다. 우리나라 은행이 망했던가? 인수 합병은 되었는데ㅠㅠ 은행의 자산상황을 나는 잘 모르겠다. 튼튼한 은행을 선택하는 것이 아니라 집에서 이용하기 편한 은행과 거래를 하고 있어서. 나의 이런 의식을 바꾸어야 하는가?

미국의 경우 2008년 도산이 많았다고 한다. 미국도 25만 달러까지 보장을 한다고 하지만 초과 금액의 위험성을 경고하고 있다. 은행의 도산이라는 극단적인 가정을 빼고서라도 금은 보유가치가 있다고 생각한다. 우리의 자산을 든든하게 지키기 위해서 돈 공부는 2021년에도 쭉 계속된다.

#국제경제 #금의미래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