금융의 미래 - 팬데믹 이후 10년, 금융세계를 뒤흔들 기술과 트렌트
제이슨 솅커 지음, 최진선 옮김 / 리드리드출판(한국능률협회) / 2021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미래사회가 예측 가능하다면 우리는 지금 무엇을 할 것인가? 미래학자의 금융의 미래를 통해 세계 금융의 변화 방향을 알아보자. 제이슨 솅커의 팬데믹 이후 10, 금융세계를 뒤흔들 기술과 트렌드를 이 책에서 만날 수 있다. 저자는 핀테크 분야를 5년간 조사하고 16년간 금융권에서 일한 경험이 있다. 세계에서 가장 정확한 금융 예측가 중 한 사람이라고 평가받고 있다.

 

 

핀테크는 금융의 혁신과 붕괴를 가져오고 있다.

핀테크라는 말은 말이 듣긴 했지만 정확한 용어를 정리하기 위해 검색을 했다. 금융과 기술을 결합한 서비스 혹은 그런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를 가리킨다.

핀테크 기술이 모든 면에서 금융 활동의 비용을 줄이고 있다. 전통적인 금융과 달리 접근성이 굉장히 좋다. 어플 하나로 쉽게 금융거래가 가능하다. 이름도 못 들어본 다양한 은행들이 온라인상에서 많이 등장한다. 대표적인 카카오뱅크는 이제 누구나 휴대전화로 계좌를 이용하는 쉬운 접근 방법이다.

핀테크를 이용한 비용 절감과 편의성은 은행에 닿을 수 없었던 사람들에게도 모바일을 통해서 가능하게 한다. 아프리카의 모바일 결제 확산 비율이 점점 올라가는 수치가 흥미로운 결과이다. 핀테크 기술은 무한한 잠재성을 갖고 있다.

 

또 그는 블록체인을 주목하고 있다. 블록에 데이터를 담아 체인 형태로 연결해 수많은 컴퓨터에 연결하는 기술이다.

공공거래 장부로 거래할 때 발생할 수 있는 사기, 범죄를 줄이는 일에 역할을 한다.

그러나 규제받지 않는 암호화폐 거래에 이용될 때 세계 금융을 파괴할 수도 있다고 한다. 온라인에서 해킹을 막기 위한 기술로 사용된다고 한다. 어떤 기술이든 올바르게 사용될 때 제 가치를 드러내는 것이다. 핀테크보다 나에게는 더 어려운 용어이다.ㅠㅠ

 

코로나로 우리 국민은 긴급지원금을 받았다. 국가의 지원은 공짜로 주는 돈으로 인식되어 안 받으면 억울하다. 하지만 우리들은 코로나 이후에 우리가 감당해야 할 돈을 걱정했다. 그렇게 지원금으로 지출한 돈을 어디에서 메워야 할까? 정부의 부채에 대한 장기적 위험은 어떻게 대처해야 할까 등에 대한 고찰을 하게 된다.

 

시장의 동향, 기술의 동향, 장기적 위험, 세계의 동향을 통해 저자는 금융의 미래에 한 발 앞서 대비하기를 말하고 있다. 빅데이터, 자동화, 블록체인, 양자 컴퓨팅, 사이버 보안, 로보어드바이저, 불안한 AI로 기술의 동향을 말하는데 우리가 주목해야할 변화이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