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메이지 유신 - 흑선의 내항으로 개항을 시작하여 근대적 개혁을 이루기까지! ㅣ 이와나미 시리즈(이와나미문고)
다나카 아키라 지음, 김정희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20년 11월
평점 :
일본의 근대화 과정은 어떻게 진행되었을까? 대표적인 키워드라면 메이지 유신이다. 아마 책에서 접해보았을 것이다. 일본인 “다나카 아키라“는 이와나미 시리즈에서 ”메이지 유신“을 말하고 있다. 우리의 근대화와 비교하면서 읽어보았다.
메이지 유신은 지금까지 없었던 미증유의 변혁이라고 표현하고 있습니다.
막번 체제에서 실권자가 쇼군이었다면 이제는 천황이 직접 정치를 하는 체제로, 폐번치헌을 통해 통일 정부로, 쇄국에서 개국으로 아주 커다란 변혁의 소용돌이 속에 일본은 있게 됩니다. 19세기의 변화와 맞물리며 세계 속에서 바라보려고 저자는 말하고 있다.
페리의 내항이 계기가 되었지만 그 전부터 막번체제의 사회적 모순이 드러났기에 1853년~1890년으로 메이지유신 시기의 범위로 본다.
미일수호통상조약에 따라 요코하마, 나가사키, 하코다테를 중심으로 개항이 되고 무역은 증가했다.
존왕양이, 공무합체라는 단어를 이해해야 막부의 실상을 알 수가 있다. 그 당시 농민봉기와 관련해 민중은 천황을 옹호하며 절대화하며 각 번은 (공부합체파)는 천황을 상대화하는 정치논리로 대립되고 있었다. 그리고 토막운동까지. 일본학을 방송대에서 공부를 해서 전공으로 일본의 역사를 배웠는데 기억이 잘 안난다. 나란 여자ㅠㅠ 대정봉환으로 막부는 천황에게 통치권을 돌려준다. 왕정복고 운동까지 이 혼란스러운 시기가 사실 이해가 어려울 수 있다. 많은 막부이름과 영웅(?)들의 출현 그리고 일본어 고유명사의 이름까지. 서평을 쓰면서 다시 한 번 읽으니 조금 이해가 되기도 한다. 그러나 책 자체는 일본의 지성을 상징하는 시리즈라서 잘 생각이 안나는 부분들을 검색하면서 이해의 고리를 만들며 읽었다.
재미있는 것은 폐번치현으로 전국에 현이 설치되었는데 조정과 적이었던 번은 원래 이름을 사용하지 못했다고 하는데 그것을 역사의 승리자의 보복으로 보았다. 우리나라를 그림으로 담았던 엘리자베스 키스처럼 일본에도 그런 인물이 있었다. 그림은 아니지만 당시 기록으로 남긴 반 뷰렌이라는 미국 총영사를 통해 당시의 생활을 짐작할 수 있다. 당시 어떤 모습일지 궁금하지 않은가? 일본을 바라본 서양인의 시선은 우리랑 또 달랐을 것이다.
이와쿠라 사절단과 메이지 헌법, 교육칙어 들을 살피며 메이지 유신을 기록한 책은 당시를 상세히 짐작할 수 있게 하는 자료이다. 물론 당연히 지식이 짧은 내게는 어려웠지만 말이다. 백독백습은 실천할 수 없지만 한 번과 두 번은 분명히 차이가 있다. 좀 더 읽어보고 싶은 책이다. 또 다른 새로운 것을 책에서 찾을 수 있을 것 같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지원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