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리주의 현대지성 클래식 31
존 스튜어트 밀 지음, 이종인 옮김 / 현대지성 / 2020년 6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공리주의를 말한다면 제일 간단하게 최대 다수의 최대 행복을 떠올린다.

그리고 공리주의를 주창한 존 스튜어트 밀을 말하고 나면 더 깊게 들어갈 수 없었다.

그래서 좀 더 알고 싶었다. 다수의 행복을 위한 그의 사상을 통해 그 시대를 들여다보고 싶어서 현대지성 클래식 31번의 책공리주의를 읽었다.

 

역시 어려운 책이다. ㅠㅠ

제목부터 선입관에 사로잡혔지만 그래서 더욱 오기가 생긴다. 역시 사상이 담긴 책은 한 번에 읽기를 끝낼 수가 없다. 철학자들이 말한 옳고 그름을 말한다는 것 자체가 아주 오랫동안 이루어진 논쟁이기 때문이다.

같은 행동을 해도 때로는 옳을 수도 있고 때로는 잘못된 행동일 수도 있다. 모든 규정이 하나로 딱 정리되지 않는다.

읽고 또 읽고 적어도 세 번은 읽어보라고 옮긴이는 말하고 있다.

 

공리라는 것을 행복으로 번역했다. 사람들이 추구하는 절대 선이라고 말하면 억지인가?

우리 모두 행복을 추구하면서 살고 있다. 그런데 행복 없이도 살 수 있다고 말한 사람들도 있다. 물론 사람의 생각은 그럴 수도 있겠지만 나는 찬성할 수 없다.

행복하게 살기 위한 나 자신의 기준은 무엇인가?

칸트가 말하는 도덕적 의무를 수행하며 보편적 원리를 추출해는 것일까? 칸트는 의무론과 밀, 벤담, 플라톤의 행복론과 소크라테스를 언급하고 있다. 다양한 학자들과 그의 주장을 공리주의와 연결해 말하면서 공리주의와 공리주의가 아닌 것을 구별하며 공리주의에 대한 사람들의 반대의견을 물리치며 제대로 공리주의를 설명하고 있는 책이다.

 

의무와 행복 중에서 우리는 무엇을 따라야 할까? 의무를 저버릴 수는 없을 것 같다.

의무를 행하면서 행복을 찾는다는 것은 쉽지 않지만 그래도 양자 중 하나만 선택하는 것은 싫다. 쾌락을 추구하는 존재인 우리가 의무를 생각하지 않는다면 원초적인 인간이 될 것이다. 질적인 쾌락을 강조하며 저급한 쾌락과 고상한 쾌락을 언급하며 생각거리를 던져주고 있다.

바로 철학의 맛을 즐기게 해준다. 바쁜지만 우리가 잊지 말아야 할 자신의 삶의 기준이 있다. 그 기준에 맞게 잘 살고 있는가? 공리주의를 읽으면서 행복을 생각하고 어떻게 살아야 하는지 잘 살고 있는지를 한 번 점검하면 좋겠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주관적으로 작성한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