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ow 베트남 성장하는 곳에 기회가 있다
이정훈 지음 / 한국능률협회컨설팅(KMAC) / 2020년 9월
평점 :
품절


엄마와 처음 해외여행을 한 국가가 베트남이다. 중국어 문화권으로 왕조시대의 역사를 가진 베트남은 우리에게 매우 친숙한 국가이다. “베트남 성장하는 곳에 기회가 있다”라는 책을 그래서 읽었다. 베트남에 나가서 사업을 하는 지인의 남편 이야기도 들은 바 있어서 경제와 돈의 흐름이 궁금했다.

 

 

베트남을 여행했을 때 정말 많은 사람들이 하노이 시내를 오토바이를 타고 달리는 모습을 보았다. 대중적인 교통수단인데 지금은 공유경제의 발달로 그 당시보다 더욱더 가속화 되고 있다고 한다. 공유경제라는 말이 참 좋다. 나에게 필요가 없을 때 그냥 보유하고 있는 것이 아니라 다른 활용수단으로 채택해 경제적 부까지 만들어내니 너무 좋은 이론이다. 베트남에 공유 숙박, 공유 오토바이, 공유 오피스, 공유 차량 등 다양한 것들이 사용되고 있다고 한다. 공유 오토바이가 특히 많이 이용되고 있는데 버스 요금과 비슷하고 노선이 정해지지 않아서 국민 모두가 많이 이용한다고 한다. 오히려 시내버스 보다 더 많이 이용을 한다고 한다.

 

 

베트남 사람들은 현금을 결제 수단으로 많이 사용한다고 한다. 우리의 1990년대쯤으로 인식을 하면 된다고 한다.

사실 나는 신용사회를 별로 좋아하지 않는다.

물론 신용거래 말이 좋다. 그러나 그 신용거래를 잘 관리하지 못해 신용불량자가 된 경우도 많기 때문이다. 그리고 신용불량자가 되지 않도록 카드 발급을 규제하지 않고 능력에도 맞지 않게 오히려 빚을 조장한다는 쪽으로 더 많이 생각이 들기 때문이다.

그래서 나는 현금이 좋다. 그러나 신용카드는 사용한다.

계륵이다. ㅠㅠ (물론 갚을 수 있는 능력만큼만 발급된다면 그 정도까지만 인정할 수 있다. 그러나 안 그런 사람을 많이 보았기에)

나의 추구하는 라이프 스타일은 빚 없이 살아가는 것이기에 신용카드는 딱 2장만 사용하는데 1장의 신용카드가 주축이 되고 1장은 직불카드로 계좌에서 바로 빠진다. 더 이상의 신용카드를 만들기도 싫다. 그리고 분수에 맞지 않는 삶도 싫어하기에 한 달의 빚을 지는 것 외에는 나를 허락할 수 없다.

베트남에도 현금결제가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고 한다. 최근 코로나19 상황에서 점점 신용카드 결제가 많아지고 있고 국가에서 장려하는 방향이라고 한다. 매년 6월 16일을 특별한 날로 제정해 기념한다고 한다. “현금없는 날”이라는 이름으로 다양한 혜택을 제공한다고 한다.

 

 

핀테크라는 말이 많이 등장했다. 무슨 말일까?

정말 궁금했는데 찾아보려는 찰나 책에서 나왔다. “금융과 기술의 합성어로 금융과 기술, 특히 정보기술의 결합을 통해 새롭게 등장한 금융 서비스 및 산업을 가리키는 용어”라고 한다.

베트남 인구의 60% 이상이 인터넷을 사용하고 80% 이상이 스마트폰을 사용한다고 한다. 베트남 시장으로의 유입은 장래가 창창하다. 앞으로의 미래가 기대되는 나라로 기업과 개인의 다양한 활동이 어떤 양상으로 전개될지 찬찬히 지켜보자. 베트남에서 사업을 준비하거나 거주를 원하는 사람이라면 이 책이 많은 도움을 줄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