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리덤, 어떻게 자유로 번역되었는가 이와나미 시리즈(이와나미문고)
야나부 아키라 지음, 김옥희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20년 3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외국어를 우리가 살고 있는 곳의 모국어로 번역하는 첫 번째 조건은 무얼까?

외국어를 능통하게 구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이다. 부러운 일이다. ㅋㅋ

실생활에서 사용할 수 있는 영어를 잘 배웠다면 아직까지 영어에 대한 안타까움이 남아 있지 않았을 것이다. 그 오랜 시간을 배워도 친해질 수 없었던 영어... 말하기, 듣기, 쓰기와 읽기도 잘되지 않는다. 학습자료와 공부할 책이 너무나 많은데도 불구하고. ㅠㅠ

일본의 근대 시절을 살았던 게이오대학의 창시자인 후쿠자와 유키치는 영어를 가르치는 교육자였다. 그를 수식하는 단어는 많다. 근대화를 상징하는 인물 중 하나이며 교육자, 사상가, 언론인, 저술가 등으로 말을 할 수 있다.

"Freedom, 어떻게 자유로 번역되었는가" 읽다가 보면 계속 등장하는 이름이다.

여러 번 책에서 만나 본 인물인데 그냥 조금만 알고 지나치다가 조사를 조금 해 보았다.

그는 문명개화론자였다. 그의 사상적 가르침은 후학들에게 전파되었고 일본은 결국 조선과 중국을 침략하게 된 것이다. "탈아론"의 골자를 보면서 분개했다는... 어찌 되었던 일본의 지폐 만 엔의 주인공이다. 그가 처음으로 배운 언어는 네덜란드어이다.

그런데 우연히 방문한 요코하마에서 자신이 배운 언어가 아무 쓸모 없음을 알게 되고 영어를 배워야겠다는 목표를 갖게 되었고 결국 미국행으로 연결되었다고 한다. 많은 번역을 하면서 그의 관점에서 다양한 풀이를 이 책에서는 제시하고 있다.

단어의 묘미를 어떻게 잘 살릴 수 있을까?

지식인의 입장에서 번역을 하는 일은 쉬운 일이 아니다.

그의 번역은 일본의 대중들이 바라보고 사용하고 또 후대에까지 영향을 미친다.

'여러 단어들이 결국은 경쟁에서 제대로 된 하나로 살아남게 되는 과정을 거친다'라고 생각했지만 저자의 생각은 달랐다. 바로 그것은 카세트 효과였다.

카세트 효과라는 단어도 계속 등장한다.

번역 시 등장하는 효과로 갓 나온 단어가 사람들을 매혹해 적절한 번역어로 정착하는데 결정적인 영향을 미친다는 것이다. 결국 살아남은 단어들은 경쟁에서 살아남은 것이 아니라 카세트 효과 때문이라고 저자는 말했다.

외국의 언어를 들여올 때 우리나라 또한 마찬가지였겠지?

당시에 없었던 단어로 번역을 완성하고 뜻을 찾아가는 일은 결코 쉽지 않다.

새롭게 탄생한 번역어가 원래 가진 가치와 올바른 뜻 그대로 사용하는 일은 어렵다. 그래서 일반 대중이 오역해서 사용하기도 하는데 번역자는 그러한 이유로 더 고군분투하게 되는지도 모른다. 단어가 주는 현실 속에서의 무게는 번역자를 짓누르게 된다. ㅠㅠ

메이지 시기 당시의 유행어인 자유.

많은 사람들이 사용하며 부적절하게 사용하는 상황도 많았는데... 진정한 "자유"란 무엇일까? "바다를 건너" 들어온 고마운 것...이라고 정리되어 있는데 나는 자유란 너무 추상적인 단어이며 광범위해서 어느 것으로도 정형화 시킬 수가 없다고 생각한다. '정형화되지 않는 아름다움이며 추함이기도 하다'라고 스스로 이야기해본다.

사회, 개인, 근대, 미, 연애, 존재, 자연, 권리, 자유, 그(그녀)를 번역하면서 책에서 일본 사회에서 사전에서 다양한 자료와 책을 찾아 제대로 된 표현으로 바꾸는 일본 지식인들의 다양한 견해가 들어가 있는 책이다. 우리는 일본에서 문화를 받아들였기에 일본어에서 우리말로 번역되는 같은 과정을 거쳤을 것이다. 외래어와 외국어 그리고 고유어를 생각해보는 계기가 되었다. 일본에서 외국어의 변화 과정을 살펴볼 수 있는 특별한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