인공지능의 현재와 미래 - 인공지능의 미래를 이끄는 21가지 혁신 기술
나는 미래다 방송제작팀 지음, 권용중 옮김, 양훈모 감수 / 보아스 / 2020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made in china" 저렴한 물건을 상징하는 그러나 못 만들 것은 없는 인력이 풍부한 시장쯤으로 중국의 저력을 무시하고 있었다.

중국의 가치를 올바로 평가하기보다는 나도 모르게 무시하고 있었다.

근거는 무얼까? 아마 싸게는 만드나 제대로 못 만든다는 인식이 깔려 있었기 때문이다.

중국의 미래를 엿본 책 "인공지능의 현재와 미래"를 보고 나니 중국이 앞으로 어떻게 변할지 기대가 된다.

우리나라가 걱정스럽기도 하고ㅠㅠ. 역시 과학기술의 저력이 앞으로의 삶을 이끄는 중요한 키이다.

중국이 추진 중인 "혁신"은 대단했다.

중국의 미래를 바꾸어줄 혁신기술 21가지를 이 책에서 살펴볼 수 있다.

중국에 인구가 많고 부자도 많고 미래도 역시 밝았다. 2017년 8월 국제협력 정상포럼에서 20개 국가에서 온 젊은이들에게 중국의 신 4대 발명품을 물었을 때 "고속철도. 인터넷 쇼핑, 알리페이(전자결제), 공유 자전거"이렇게 이야기했다고 한다. 당시 우리 현실과 얼마나 차이 나는지는 잘 모르겠다.

단지 이야기하고 싶은 것은 우리가 사용하는 공유 자전거가 생각나서 옮기는 것이다.

요즘 '서울 따름이'를 나는 참 즐겁게 이용한다. 바로 이러한 시스템을 중국에서 도입한 것을 우리가 벤치마킹을 한 것인지? 편리하게 만들어진 공유 시스템이라 소문 해서 많은 사람들이 이용하면 좋겠다고 생각하던 것인데 책에 지나가듯 들어가 있어서이다.

인공지능의 한계는 어디까지일까?

인공지능(AI) 기술을 이용한 작곡, 편곡, 앨범 제작 모든 단계에서 이용된 과학기술이 명곡을 만들 수 있다는 것도 가능하고 영상의 편집 홍보에도 기술이 적용되고 있다. 셰프로 각종 레시피를 만들며 왓슨 종양 솔루션은 오래전부터 치료를 돕고 있다.

장애인용 스마트 의수 개발을 통해 27년 동안 장애인으로 살았던 사람이 5분의 훈련을 통해 다양한 일상생활을 가능하게 했다는 점도 놀라웠고 특히 신기했던 것은 루게릭병 환자와 진행하던 실험은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기술을 이용해 그들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도록 했다는 점이다. 사지를 움직이지 못하고 외부 세계와 단절되어 있지만 두뇌는 온전했기에 "물 마시고 싶어" "딸을 보고 싶어"... 간단한 의사소통과 뇌에서 기쁨 수치가 나타나는 것을 과학으로 할 수 있다는 것은 정말 신기했다. 과학 기술의 수준의 현재를 알 수 있는 부분이었다. 반려로봇, 드론, 안면인식 기술 등 신기한 분야가 너무 많아서 다 담기가 어렵다.ㅠㅠ

과학은 딱딱한 분야라고 생각되고 어려운 단어도 많고 나는 인문계 고교를 졸업했기에...라는 핑계를 대면서 언제까지 관심을 두지 않을 것인가? 안된다. 우리가 살고 있는 세상이 변하고 있다. 그렇다면 우리도 변화를 따라가야 한다. "계속 전진해라, 결코 낙오되지 말아라"이 말이 오늘도 나를 붙잡았다.

마지막으로 생명을 연장하고 오래 살고 싶은 것은 인간의 당연한 욕구이다.

신약을 개발하고 클론 항체류의 생물약이 계속 나올 것이지만 이 약을 사용하지 않기를 바란다. 책에서 제시한 건강관리를 위한 3가지는 밤새우지 말고 일찍 자기, 많이 먹지 말기, 운동을 많이 하기이다.

아무리 과학이 발전해도 변하지 않는 건강관리 수칙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