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덤 스미스 - 도덕을 추구했던 경제학자 이와나미 시리즈(이와나미문고)
다카시마 젠야 지음, 김동환 옮김 / AK(에이케이)커뮤니케이션즈 / 2020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애덤 스미스'로 책을 검색하니 끝이 없다.

얼마나 많은 책이 애덤 스미스의 이야기를 담고 있는지... 결국 '도덕을 추구했던 경제학자'로 검색했더니 쉽게 찾을 수 있었다.

2020년 나의 화두는 경제와 금융 분야에서 기초지식을 겸비하는 것이다. 예전 같으면 딱딱한 책(나의 주관적인 감성)은 신청 대상에서 제외되었겠지만 이제는 자세히 읽어보고 책을 선택한다. 경제학의 고전 애덤 스미스는 그렇게 나의 손에 오게 되었다.

책이 앞 부분에서 넘어가지를 않는다. 사실 코로나19로 나의 절친은 책이지만... 잡기만 하면 잠이 오고 잡기만 하면 집중을 할 수 없어서 놓고 다시 또 읽었다가 혼자 생쇼를 하다가 도저히 안되어서 작정을 하고 읽었다. 고전이란 참 매력적인 것인데 고전의 가치를 이제 입문한 나로서는ㅠㅠ 아직 무리이다.

이 책은 일본의 경제학자 다카시마 젠야에 의해 출간된 도서이다. 그는 근대화와 내셔널리즘의 투사로 스미스를 바라보고 있다.

18세기는 애덤 스미스가 살았던 시대이다.

봉건주의가 무너지고 근대화가 되면서 신질서를 향한 시대, 영국이 존재하기 전이며 스코틀랜드 글래스고가 그 중심지이다. 글래스고 대학 강의에서 '도덕감정론'을 이야기한다. 윤리학보다 철학에 가까웠던 그의 저서는 이미 전 유럽의 관심사로 확대되었다. 이후 스미스 강의는 법학, 경제학으로 옮겨가며 그를 확고 부동한 경제학자로 우리는 받아들이게 된다.

국부론은 주로 경제 세계를 중심으로 논하지만 경제만을 이야기하지는 않는다. 경제와 정치, 경제와 법, 경제와 교육, 경제와 역사, 경제와 문명 등 경제를 중심으로 사회 전체의 다방면에 걸쳐 다루어지고 있다.

멜서스, 리카도, 헤겔, 마르크스, 흄 등 많은 학자들의 이름과 스미스의 국부론을 연결해 다양하게 해석하며 고찰하고 있다. 또 에토스, 로고스, 모럴, 이기심, 분업 등의 용어와 시민과 자본가 등의 다양한 개념이 이 책에 등장해 국부론을 읽은 적이 없는 나를 혼란에 빠트린다.

결론은 국부론을 읽어야겠다. ㅠㅠ 읽어내야 할 당위성을 발견했다.

오랜 시간 학자들의 추종과 비판을 받으며 다양한 담론을 아직도 이어오고 있는 국부론을 알지 않고서 이 책을 이해하기는 힘들다.

사회 교과서에서 배웠던 '애덤 스미스' 그리고 그를 수식하는 '국부론' 또 '보이지 않는 손', '자유방임주의'가 내가 알고 있는 스미스였다. 이제 조금 확장을 했으니 오늘은 그것으로 만족하리라. 부족한 부분은 또 책 읽기를 통해서 하나씩 채워질 것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