쓰레기책 - 왜 지구의 절반은 쓰레기로 뒤덮이는가
이동학 지음 / 오도스(odos) / 2020년 2월
평점 :
일시품절



왜 지구의 절반은 쓰레기로 뒤덮이는가? 쓰레기는 어디로 가는가?

이러한 궁금증을 해결할 쓰레기를 찾아 떠난 1만 7000시간의 기록이 이 책에 담겨있다.

쓰레기 오늘도 열심히 만들었다.ㅠㅠ 시장에 들러 물건을 사면서 스티로폼 포장이 된 물건을 구매했다. 의식하면서 과포장된 것은 구매하지 않도록 해야 하는데 쉽지 않다. 환경문제에서 어느 나라도 자유로울 수 없다. 또한 어느 누구도 마찬가지이다. 가해자이기도 하고 피해자이기도 하다. 선진국의 잘못인데 개발도상국이 그 고통을 감내해야 하는 ㅠㅠ

이동학이라는 지구촌장님이 있다. 젊은 열정으로 쓰레기 문제를 파헤치며 우리들이 나아가야 할 길을 제시해 주고 있다. 2년 동안 한 가지 주제를 다루며 지구의 문제를 고민했던 그 시간들이 이러한 결과물로 나오다니 독자로서 그리고 환경을 생각하는 지구인으로서 너무나 감사한 일이다. 지구촌의 다양한 쓰레기 문제를 찾아다니며 시민들을 인터뷰하며 2년 동안 61개국 157개 도시를 돌아보았다고 한다.

목차는 아래와 같다.

1. 쓰레기는 어디서 오는가

2. 쓰레기는 어디로 가는가

3. 묻거나 태우거나 다시 쓰거나

4. 누구나 알지만 누구나 모르는 쓰레기의 비밀

5. 쓰레기를 자원으로 바꾸는 힘

6. 오 마이 쓰레기, 남은 음식부터 동물 사체까지

7. 쓰레기 재앙이 온다

초원의 아름다운 풍경과 게르를 상상했던 몽골의 쓰레기 산 앞에서 스스로를 부정했다.

현실이 아닐것이라고ㅠㅠ 학교에 가는 대신에 쓰레기를 분리하며 열악한 환경에 놓은 어린이들의 모습과 쓰레기로 먹고사는 그들의 삶을 보면서 쓰레기의 주인은 누구인가를 생각하게 된다.

내가 만든 쓰레기는 지금쯤 어떻게 되었을까?

어디에 머물고 있을까? 자본주의 대량생산과 대량소비는 이런 문제를 일으킬 수밖에 없다는 결론이 나온다. 그 결론을 우리는 부정하며 눈앞에서 치워두면 괜찮을 거라고 눈 가리고 아웅 하는 모습으로 살았다.

2018년 1월 중국은 쓰레기 수입을 금지했다. 이 무렵 뉴스에 등장했던 각종 쓰레기 컨테이너가 생각나는가? 쓰레기는 이제 매립, 소각, 재활용 밖에 해결할 방법이 남아 있지 않았다.

모든 쓰레기가 문제지만 특히 플라스틱은 심각하다.

우리가 만들어낸 세기의 발명품 플라스틱은 태평양 한가운데 쓰레기 섬을 만들고 프랑스 영토의 3배 규모라고 하니 입이 쩍 벌어진다. 플라스틱은 사라지지 않는다.

미세 플라스틱이라고 들어보았는가? 분해되지 않고 잘게 부서져 0.5mm 이하 크기는 눈에 띄지도 않는다. 물고기들은 플라스틱을 알아볼 수가 없다. 먹이라고 생각하고 그것을 먹고 다시 사람들이 물고를 잡아먹고 결국은 우리 몸에 축적된다. 동물과 사람들에게 어떠한 영향을 미치겠는가? 그 물고기를 새도 잡아먹고 생태계의 순환에 의해 결국은 어떤 일이 생길까?

바퀴벌레 호텔이 있다는데 들어는 보았는가? 역시 중국이다.

산둥성 지난시에 시멘트 건물로 만들어진 곳은 바퀴벌레 40억 마리에게 최고급 숙식을 제공하고 있다고 한다. 음식물 분해를 위한 공간으로 개체 수를 유지하고 알을 낳으면 긁어내는 자동 시스템이 설치된 곳이라고 하니 흥미롭다.

세계 각국은 저마다 다양한 노력과 시도들을 하면서 환경 문제에 대처하고 있다.

그러나 개개인이 실천하지 않는다면 무슨 의미가 있겠는가?

의식개혁을 통해 쓰레기 문제의 심각성을 알릴 필요가 있다.

그리고 하나씩 바꾸어나가야 한다.

지금 당장은 급격한 변화를 끌어내지 못하더라도 꾸준히 지속 가능한 대책과 방법을 강구해 실천해야 한다. 책에 소개된 다양한 사례들과 방대한 자료를 보니 놀랍다.

이 책을 읽고 나서 쓰레기에 대한 결심을 다시 한번 다졌다. 일회용 가급적 이용을 줄이기, 플라스틱은 구매하지 않기, 과포장된 용기에 담긴 물건을 구매하지 않도록 노력하기, 딱 먹을 정도로 적정한 양만 조리하기, 재활용 분류 잘 하기, 텀블러 이용하기 등이다.

쓰레기에 대한 나의 상식을 깨는 이 책은 지구인이라면 누구나 읽어야 할 책이다.

그리고 한 가지라도 실천할 수 있도록 노력을 기울이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