맨 얼라이브 - 남자를 살아내다
토머스 페이지 맥비 지음, 김승욱 옮김 / 북트리거 / 2020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글에는 스포일러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리뷰어스 클럽에서 찾은 "맨 얼라이브"는 읽고 싶은 내 욕구를 자극했다. 
남성의 이야기를 담은 책이나 평범하지 않았다. 
주어진 성대로 살아가는 것이 아니라 그가 선택한 성으로 삶을 살아가는 작가에 대한 호기심도 일어났다. 
자신에게 주어진 성에 만족하며 살아가고 있는가?
답은 아니다. 내가 가진 여성이라는 관점이 참 싫었다. 그냥 순응해서 살았을 뿐이다. 내가 선택 상황에 놓였다면 어떠했을까?
나는 나에게 여성과 남성 대하여  생각해 볼 수 있는 기회를 이 에세이를 통해서 주기로 했다. 

토마스 페이지 맥비는 스스로 남성이 된 사람이다. 
기자이면서 방송작가로 활동 중이며 트랜스젠더 남성으로 2015년 권투시합에서 유명 인사가 되고 남성성 전문가로 활동 중이다. 

29세의 오클랜드에서부터 피츠버그의  9세 살의 나는 어린 소녀에서 남자로 성장하는 과정이 현재와 과거를 오르내리며  담겨 있다. 
그의 유령 같았던 삶(그의 표현을 빌자면)은 완전한 남자로 변한 30세의 뉴잉글랜드까지가 종착역이다.(물론 책에서이다. 현실은 아마 계속 진행 중이겠지?)

9살의 나는 아버지의 학대에 노출되었고 거울에서 만난 그의 모습은 항상 모습이 기본형이었다.
그러나 성장하면서 소년이 남자가 되어 가는데 자신은 남자들 사이에서 남자로 살아간다는 것은 너무나 그 차이를 드러내고 있었다. 
거울 속의 남자아이를 살려내기 위해서 사우스캐롤라이나로 자신을 찾으러 가는 과정이 그려진다. 그의 여자친구 파커와 아빠 로이 그를 죽이려 했던 강도의 이야기들이 내 생각들과 섞이면서 혼란스러웠던 것들이 정리되며 마지막에 남성성을 찾아 진짜 남자가 되는 이야기가 대략적인 줄거리이다. 


좋았던 한 문장은 "나는 모든 일에 대해 내 의견이 있어." 파커의 이야기였다. 
나(소설 속)의 여자 친구는 이러한데... 현실을 살고 있는 나는 어떠한가? 
모든 일에 대한 내 의견이 있었던가? 
나는 당연히 내가 성을 선택할 수 없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남성 위주의 부조리한 생각들을 말도 안 된다고 하면서 어쩔 수 없다는 이유로 따랐다. 그것이 사회의 통념이라고 생각하면서. 


나의 성을 내가 선택한다는 것은 참 아름답다고 생각한다. (시대가 변했으니까. ㅋㅋ
내가 조선시대를 살았다면 아마 인정할 수 없었을 것이다. )
그의 삶을 정말 진지하게 적극적으로 고민하고 주어진 통념에 맞서서 자신의 노력을 기울이고 최종적인 인정을 받았다는 것이다. 
여성으로도 살아보았고 남성으로도 살아보았던 그의 삶은 분명히 남들과 달랐다. 맥비는 앞으로도 계속 특별한 그 경험을 존중하며 더욱더 큰 가치로운 일 들을 만들어낼 수 있을 것이라고 생각한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