불안이 불안하다면 - 불안감을 추진력으로 바꾸는 가장 과학적인 방법
트레이시 데니스 티와리 지음, 양소하 옮김 / 와이즈베리 / 2023년 4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지난 주말 사촌동생의 결혼이 있었다. 축의금 받는 것을 부탁받아 처음으로 축의금을 받고 정리했다. 처음이지만 다른 사촌들과 같이 했기에 별다른 어려움 없이 마무리 했다. 그런데 다음날 아침. 잠에서 깨자마자 어제 내가 제대로 마무리 했는지 걱정이 되었다. 서랍에 봉투를 놔둔 것은 아닌지 이런 생각이 들었다. 잘 끝나고 나서 지난 것에 대한 걱정을 한 것일까? 시간이 지나니 자연스레 이 생각은 하지 않게 되었다. 내가 괜한 걱정을 하고 필요 없는 불안을 하고 있다는 생각이 들었기 때문이다.

 

지난주에는 회사 동료가 새벽에 출근했다는 이야기를 들었다. 새벽 4시에 깨고 회사에는 6시 넘어 출근했다고 한다. 아니 왜 그랬어?라고 물으니 불안하고 신경 쓰여서 그랬다고 한다. 처음 맡는 업무이다 보니 걱정이 많았나 보다. 내가 너무 걱정하지 말라고 했다. 틀려도 아는 사람이 본인 밖에 없으니 어쩔 수 없다는 위로 아닌 위로를 했다. 그리고 내가 좋아하는 말을 해 줬다.

걱정을 해서 걱정이 없으면 걱정이 없겠네!”(터키 속담이라고 자신만만하게 알려줬는데 지금 찾아보니 터키 속담이네 -..-;;)

 

우리는 불안을 안 좋은 것으로 여긴다. 더 나아가 불안을 느끼지 말아야 하는 것으로도 생각하기도 한다. 나 또한 가까운 사람이 불안해한다면 그 불안이 사라질 수 있도록 이런저런 말을 해 줄 거 같다.

그런데 불안이 정말 안 좋기만 한 것일까?

<불안이 불안하다면>을 읽고 나면 불안은 지극히 정상적이고 우리에게 도움을 되는 것이다. 인간은 불안을 통해 생존 가능성을 높였고 우리는 그 후예이기 때문에 계속 불안을 느끼는 것이다. 불안은 우리의 문제에 집중하게 하는 경보기인 것이다.

(32) 불안을 집에 불이 났다고 알려주는 화재경보기에 빗대어 생각한다고 해보자. 경보기의 소리를 듣고 불이 난 곳을 찾아 불을 끄려고 하는 대신, 경보음을 무시하거나 배터리를 빼버려 경보음이 들리지 않게 하거나, 경보음이 들리지 않는 다른 곳으로 도망 가버린다고 하면 어떨까.

 

그런데 불안감을 느끼는 것은 왜 기분 안 좋은 것일까? 긍정보다는 부정이 우리를 집중하게 하고 동기부여에 효과적이기 때문일 것이다. 불안은 되짚어 보거나 예방을 하게 해주는 도우미이다.

(46) 불안은 그 감정을 느낄 때, 즉 불안할 때 기분이 좋아 효과가 있는 게 아니라 오히려 그 반대로 우리를 매우 기분 나쁘게 만들기에 성공적이다. 초조 ,걱정, 긴장. 사실 우리는 이 감정들을 없애버리기 위해서라면 무슨 일이든 한다. 이는 특정 행동의 불쾌환 결과를 제거해 해당 행동을 증간하는 부정적 강화라 불리며 불안감의 멈춤이 보상으로 주어진다. 불안은 우리를 보호하고 생산적인 목표를 향해 동기를 부여하는 일들을 하게 한다.

(47) 그래서 불안은 반드시 기분이 나빠야 하며 최소한 늘 불쾌한 기미를 지니고 있어야 한다. 그래야 우리가 불안에 주목하게 만들고 또 우리에게 무언가를 알려주며 불안 그 자체에서 벗어나도록 하는 행동에 동기를 부여한다.

불안하기 시작하면 걱정이 밀려온다. 걱정과 불안은 같을까? 엄밀히 다르다. ‘불안한 감정이 장황하고 막연해 확신하기 어려울 때 걱정 없이 불안해할 수는 있지만 불안해하지 않고는 걱정을 할 수 없다.’ 걱정 없는 불안이 있을 수 있지만 불안 없는 걱정은 없다.

 

책 내용 중에 완벽주의와 완성주의에 대한 설명이 있다. 이 부분도 마음에 들었다. 완벽과 완성, 어느 것이 더 중요할까? 회사 생활을 하다보니 보고가 많은 부분을 차지한다. ‘완벽하게 보고를 하는 게 나을까? 보고를 완성하는 게 나을까? 나는 후자가 우선이라고 본다. 보고는 타이밍이기 때문이다. 완벽하려다 그 시기를 놓치는 경우가 종종 있다. 시기를 놓치면 그 완벽은 그 의미가 반감된다. 시기에 맞춰 완성을 하고 그 후에 완벽을 더하면 된다.

 

저자는 불안을 극복해야할 대상으로 보지 않는다. 극복이 아닌 올바른 방법으로 불안해하면 된다고 한다. 저자가 밝힌 불안 원칙의 목표는 불안인 무엇을 말하고 있는지 이해한 뒤 삶을 더 좋게 변화시키기 위해 그 정보를 활용하려고 노력하는 것이다.

불안은 미래에 관한 정보다. 불안에 귀를 기울여라.

불안이 도움이 되지 않는다면 당분간은 그냥 내버려두어라.

만약 불안이 유용하다면 그 불안으로 목적성 있는 무언가를 하라.

 

불안은 자연스러운 것이고 나에게 도움이 된다고 생각을 바꾸자! 그리고 바르게 불안하자!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