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니콘 : 유병재 대본집
유병재 지음 / 북폴리오 / 2022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유병재를 어떻게 알게 되었더라? 내 머리 속에 가장 많이 남아있는 모습은 MBC <선을 넘는 녀석들>에 나온 모습이다. 나는 유병재가 코미디언이나 방송인이 본업인 줄 알았다. 그런데 그에게 또 다른 직업이 있으니 방송작가다. 그가 쓴, 쿠팡플레에서 방송된 <유니콘>이 대본집으로 나왔다.

 

나는 드라마 대본이 책으로 나오는 일이 흔치 않을 일이라 생각했는데 그 생각이 틀렸다. 인터넷 서점에서 대본집으로 검색을 하니 꽤 많은 책이 검색된다. 인기가 좀 있었던 드라마는 대본집으로 눈에 띤다. 그렇다면 <유니콘>은 인기가 있었던 것일까? 나는 전혀 모르고 있던 작품이기 때문이다. 아니면 유병재가 썼기에 책으로 나온 것일까? 참고로 <유니콘>은 유병재가 쓴 <블랙코미디>, <말장난>에 이은 세 번째 작품이다.

 

대본을 그대로 본다는 것은 어떤 느낌일까? 왠지 영화 시나리오를 보는 것과 비슷하지 않을까? 예전에 몇 번 시나리오 모니터링을 한 적이 있다. 시나리오를 읽으면서 각 신에 대해서 설문지를 체크하고 전체적인 느낌 등에 대해 답변을 한다. 그때는 얼른 끝내고 집에 가고 싶어 빨리 읽고 빨리 설문지를 작성했다 하지만 이번 대본은 그럴 필요가 전혀 없다. 차분히 나눠서 봤다.

 

<유니콘: 유병재 대본집>대본이라는 특징을 충실히 담고 있다. 맨 앞에 기획의도가 있어 <유니콘>을 왜 썼는지 알 수 있고 시트콤의 배경이 되는 스타트업 맥콤에 대한 소개가 있다. 또한 등장인물의 소개가 상세하다. <유니콘>의 홈페이지에 나온 등장인물 설명보다 훨씬 더 자세하게 인물을 설명하고 있다. 덕분에 작품을 읽을 때 인물들의 행동을 더 잘 이해를 할 수 있다.

각 에피소드가 시작되기 전 해당 이야기와 구성이 손글씨 한 페이지로 정리되어 있다. 그래서 더욱 대본(?) 같다. 책 중간중간 드라미 장면들도 사진처럼 삽입되어 있어 집중을 이것도 대본집을 읽는데 도움을 준다.

 

기본적으로 웃기다. 매 에피소드마다 인물의 관계, 대화, 상황에 따라 웃음을 유발하게 한다. 이런 웃음코드가 안 맞을 사람도 있겠지만 나는 참 즐거웠다.

예전에 드라마를 소설로 각색한 것을 읽은 적이 있다. 인기가 많았던 <응답하라 1994>였다.

https://blog.naver.com/fogperson/80205813980 써놓은 글을 보니 부정적인 뉘앙스다.

이번 <유니콘>을 읽고 알았다. 영상이 원작인 작품은 어설픈 각색보다 차라리 대본이 낫다는 것을. 대본으로 읽어도 머릿속에서 영상으로 그려지는 것이 어색하지 않다. 아니 오히려 더 자연스럽다. 더욱이 원작이 있으니 예고편이라도 보고 대본집을 본다면 읽는 동안, 드라마가 저절로 재생될 것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