재미지옥에서 왔습니다 - 방송월드에서 살아남은 예능생존자의 소름 돋는 현실고증
김주형 지음 / 북폴리오 / 2022년 9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어릴 적에 예능을 보면 PD라는 존재는 화면 밖에 있는 사람이었다. 프로그램 중에 PD가 등장하는 일은 없었다. 그런데 어느 순간부터, 어떤 프로그램은 PD나 스텝이 자연스레 등장한다. 이제 유명 PD는 사람들이 얼굴을 알 정도가 되었다.

이 책은 그런 유명 PD 중 한 명인 김주형PD가 쓴 에서이 모음집이다. 책에는 저자가 PD생활을 어떻게 시작했는지, 왜 예능을 하고 싶어했는지 등 다양한 이야기가 들어가 있다. 방송 분야의 일이나 PD에 꿈이 있는 독자라면 재밌게 읽을 것이다.

 

<재미지옥>이라는 단어가 눈에 띤다. 재미지옥이 뭐지? 방송가에서는 우스갯소리로 예능PD재미있는 지옥에 있는 것이라고 한다. 골치 아프고 스트레스도 많지만 재미가 있어 빠져나올 수 없는 것이 예능PD라고 한다. 어느 일이나 그렇지만 특히나 방송국 일은 정말 좋아하지 않으면 못할 거 같다.

 

책을 통해 알게 된 몇 가지 사실이 있다.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사파리는 거의 다 사유지라고 한다. ? 사파리가 사유지라니. 개인이 그렇게 큰 땅을 가질 수도 있다니 신기하다. 아마 침략의 흔적이 아닐까하고 혼자 상상해 본다.

(101) 남아프리카공화국의 사파리는 거의 사유지라고 한다. / 보통 하나의 사파리가 서울의 웬만한 구를 몇 개 한비친 면적에 달한다. 그 광활한 땅에 정말 큰 경계-전기가 흐르는 철조망-를 치고 운영되고 있었다. / 사파리들은 각 동물의 개체 수를 각별히 유지한다. 그래서 이따금 이웃한 사파리끼리 서로가 필요한 동물의 개체 수를 교환해서 그 광할한 생태계의 다양성을 유지한다.

 

방송은 생방송과 녹화방송이 있다. 프로그램을 만드는 입장에서는 어느 것이 더 좋을까? 녹화방송은 촬영이 끝났다고 끝나지 않는다. 편집도 하고 송출도 있기 때문이다. 생방송은 돌이킬 수 없다는 긴장감이 크지만 촬영이 끝나면 그대로 끝나는 것이다.

(155) 생방송의 가장 큰 매력은 후반작업이 없다는 점이다. 방송이 끝나면, 말 그대로 끝이다. 생방송을 하고 있는 순간은 극도의 긴장감이 가득하지만, 마지막 타이들이 방송되는 순간은 이보다 더 후련할 수 없을 정도다. 그 방송이 잘 되었든, 잘 안 되었든 확실한 끝이 있기에 매력적이다.

 

책을 읽고 나니 방송국에 갔던 기억이 떠오른다. 가장 최근은 올해 <..> 공개 방청을 아내와 다녀왔고, 지금은 사라진 <1100>도 몇 번씩 녹화에 참여했다. 학생 때는 <TV, 책을 말하다>를 거의 매주 갔던 기억이 난다. 나 은근 예능과 교양 방송을 좋아했구나?

 

방송이 좋고, 방송이 어떻게 만들어지고, PD라는 직업이 궁금하다며 재밌게 읽을 책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