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크레이지 가드너 4
마일로 지음 / 북폴리오 / 2022년 9월
평점 :
북폴리오/와이즈베리 서평단을 통해 계속 접했던 <크레이지 가드너>. 지난 3권이 나왔을 때 웹툰은 완결됐고, 4권이 마지막권일 거 같았는데 역시나 4권이 끝이다.
이번에도 당연히 식물과 관련된 작가의 다양한 일화가 담겨있다. 식물을 키우고 나니 식물원에서 보는 것도 달라진다. 나는 식물원이나 온실에 가면 해당 설명을 보고 ‘아, 그렇구나...’가 끝이었는데 작가는 ‘아는 식물이 알던 모습이 아닌 것을 보는 게’ 재미있다고 한다. 식물원은 아무래도 보통 가정집과는 환경이 다르니 식물이 부쩍부쩍 맘 놓고 자랄 수 있나 보다.
식물을 키울 때 쓰던 흙을 따로 버려야 하는 것을 알게 됐다. 나는 흙이니 ‘버린다’라는 개념보다는 화단에 뿌리거나 산에 가서 뿌리면 되지 않을까? 싶었는데 ‘불연성’ 쓰레기봉투를 사서 버리면 된다고 한다. 토분, 도자기 화분, 자갈 등 원예 자재들도 불연성 봉투에 넣어 버려야 한다.
작가는 식물을 키우면서 달라진 점을 몇 가지 이야기 한다. 우선은 초록색을 엄청나게 좋아하게 되었다고 한다. 매일 보는 게 초록이다 보니 그 색도 좋아지나 보다. 두 번째는 환경에 관심이 많아졌다. 자연의 일부를 가꾸고 곁에 두니 자연스레 환경에 관심이 갈 거 같다. 세 번째, 어딜 가든 식물부터 쳐다본다고 한다. 관심이 가는 분야니 자연스레 더 보게 되는 것이 아닐까? 아들이 군대를 가니 길에 군인이 그렇게 많은 줄 몰랐다는 엄마의 말처럼 관심 갖기 전에는 보이지 않던 것이, 이제는 잘 인지되는 것이다.
작가가 식물을 좋아하는 이유도 밝히고 있다. 첫째, 예뻐서라고 한다. 둘째, 식물의 고요함이다. 식물과 함께 하는 시간만큼은 정신없고 시끄러운 세상과 멀어질 수 있단다. 세 번째, 쉽게 기쁨과 성취감을 느끼게 해주기에 식물이 좋다고 한다.
“가드닝과 비교하면 반려동물이 주는 기쁨이 더욱 크지만, 그만큼 커다란 책임이 필요하고 직업이 주는 성취감이 더 강하지만, 대신 느껴야 할 부담가도 강하다. 식물은 책임과 부담감에서 비교적 자유롭다. 더 이상 키울 상황이 안 되면 남에게 넘길 수도 있고 키우다 죽인다해도 원예 산업에 이바지 했다(?)고 생각하면 그만이다.”
마지막 권인만큼 에피소드 말미에는 작가가 그동안 소개하고 계속 키우고 있는 여러 식물이 사진으로 등장한다. 하월시아가 귀엽고 튤립이 멋지다. 나는 식물들보다 반려견 솜이 사진에 눈이 딱 멈추네 ㅎㅎ
동물이 더 끌려서인지 작가의 대형 반려견 ‘솜이’를 키운 이야기 <극한견주>가 더 보고 싶다. 이런 마음이 통했나? 동네도서관에 <극한견주> 단행본 전권이 다 들어왔다.
식물 키우기에 대한 간접경험을 했으니 이번에는 대형견과 함께 하는 삶을 엿봐야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