공부하는 사람들을 위한 글쓰기 - 스트레스 없이, 생산성 있게 쓰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매뉴얼
졸리 젠슨 지음, 임지연 옮김 / 한겨레출판 / 2022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제목이 끌렸다. ‘공부하는 사림들을 위한글쓰기라니. 공부하는 사람은 누구를 가리키는 것일까? 공부하는 사람의 글쓰기는 어떤 점이 다를까? 이런 궁금함에 책을 신청했다.

이번 책은 펼쳐보기 바빴다. 평소와 달리 책 표지를 눈여겨보지 않았다. 책을 덮고 표지를 보니 부제가 눈에 띈다.

스트레스 없이, 생산성 있게 쓰고 싶은 사람들을 위한 매뉴얼

책을 읽고 나니 공부하는 사람과 생산성이 무엇인지 알겠다. 공부하는 사람이란 교수, 대학원 등을 가리키며, 생산성은 논문이다. 본 책은 교수, 학자와 같은 연구 종사자에게 성과, 즉 연구논문을 좀 더 수월하게 작성할 수 있게끔 도와주는 책이다.

책이 두껍지 않아 좋다. 그리고 보통의 크기보다 작다. 얇고 작아서 들고 다니기 편하다. 책상 위나 가방 속, 손이 닿기 좋은데 두고두고 보라는 거 같다.

 

저자의 일화와 함께 글을 쓰는 요령을 조곤조곤 알려준다. 수필 같은 느낌도 든다. 저자는 글쓰기를 위해 몇 가지 알려준다. 가장 기억에 남는 것은 매일 15분씩 쓰기이다.

15분이 가지고 글이 써질까 싶은데 저자는 가능하다고 한다. 꾸준히 글을 쓰기 위한 최소의 시간일 것이다. 저자는 15분 글쓰기를 일과 중 최우선으로, 꼭 지키라고 강하게 말한다. 다른 일을 처리하고 난 다음에 쓰는 것이라 아니라, 15분 쓰기를 가장 먼저 한 뒤 다른 볼일을 처리하라고 한다.

습관을 들이기 위해서는 위와 같은 자세와 실천이 정말 필요하다. 나 또한 매번 금요일 저녁이나 토요일 밤에 잠을 잘 때 다짐을 한다. 토요일, 일요일 아침에 블로그를 글을 쓰자, 독후감을 쓰자 하지만 정작 눈을 뜨면 폰부터 챙긴다. 의무가 아니고 강요가 아니니 잘 안 하게 된다. 하지만 아무 생각 없이 저자 주장대로 매일매일 그냥쓰면 습관이 되어 있을 것이다.

 

쓸 때와 쉴 때는 알아야 한다는 저자의 조언이 매우 와 닿는다.

(124) 대두분 우리는 마감에 쫓기며 글을 쓰는 데 익숙하다. 대학원생 때나 심지어 정년 트랙 교수가 되어서도 줄곧 스스로 다그치며 몇 시간씩 글을 써서 마감 시간에 맞춘다. 그리고는 기운이 다해 쓰러진다. // 그러다 일단 글쓰기에 착수하고 나면 멈추기가 겁난다. 언제 다시 이렇게 글이 써질지 알 수 없으니 당장 최대한 글을 써야 할 것 같다. 마감이 다가오면 특히 신들린 듯 써지는 글을 멈추기도 무섭다. 일단 글쓰기를 시작하기가 얼마나 힘든지 알기 때문에 지쳐 쓰러질 때까지 멈추지 않고 쓰는 편이 차라리 낫다. 시간이 되는 한 최대한 많은 글을 쓰고 또 쓴다. 이런 식으로 한바탕 글쓰기를 계속하다가 결국 한계에 부닥친다. 그러면 글쓰기 과제를 내던지고 다음번 글쓰기 전투까지 에너지를 충전한다.

마치 내가 독후감을 쓰는 것을 지켜보고 말하는 것같다. 서평 활돌을 위해 미리미리 책을 읽고 여유롭게 후감을 쓰면 오죽 좋울까. 하지만 서평 마감일이 닥쳐야 쓰기 시작한다. 그전까지 책을 다 읽지 않은 것도 날짜 기한이 남아있으니 쓰려고 하는 마음이 강하게 생기지 않는다.

(125) 생산성 있는 작가는 매번 자신이 완전히 소모되기 전에 글쓰기를 멈춘다. 그리고 다음 글의 출발점이 될 지점을 표시해둔다. 이튿날이 되면, 전날 할 일을 준비해둔 책상으로 자신을 다시 안내한다. 일단 자리에 앉으면 글이 써지고 영감이 생길 거라고 믿고 규칙적으로 보람 있는 시간을 보낸다.

 

저자의 권유대로 하기 위해서는 글을 쓰는 시간을 확보해야 한다. 어떻게 글 쓰는 시간을 찾을까? 저자는 위선 일일 계획표를 거꾸로 써보라고 한다. 계획을 짜는 게 아니라 하루 중 한 일과 거기에 걸린 시간을 기록하라고 한다. 그러면 내가 어디에 얼마나 시간을 쓰는지 파악이 될 것이다. 파악이 되면 어디서 얼마큼 시간을 확보할 수 있을지 보일 것이다. 마치 가계부를 쓰면 내 지출이 보이듯이.

이 부분에서 예전에 읽은 <시간을 정복한 남자 류비세프>가 떠올랐다. 러시아 저명한 과학자 류비세프는 평생 남들이 남기기는 어려운 양의 연구, 저서, 사교활동 등을 했다. 그 비결은 시간 기록이었다. 류비세프는 자신이 하는 일이 얼마나 걸리는지 알고 있었다. 저자가 시간 확보를 위해 일일계획표를 거꾸로 써보라는 것도 일맥상통하는 것이다.

 

저자는 초반에 숙련공의 태도를 언급한다. 기술을 더 높은 수준으로 끌어올리기 위해 가식을 버리고 배움에 헌신하는 태도라 한다. 나는 이 표현과 태도가 무척이나 마음에 들었다. 꾸준히 무언가 한다는 것이 숙련공의 태도다. 당장이 아니지만 보다 나아짐을 기대하고 행한다. 하지만 이렇게 하기 위해서는 그 자체가 즐거움이 되어야 한다. 글쓰기도 글을 쓰는 행위가 자체가 즐거워야 한다. 저자는 매일 15분쓰기를 한다면 그 과정이 즐거워질 수 있다고 한다. 나도 그렇게 되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