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마흔의 기술 - 나이 들수록 지혜, 행복, 가족, 관계, 내면이 충만해지는
이호선 지음 / 오아시스 / 2025년 10월
평점 :
: 출판사에서 책을 무상으로 제공받아 작성한 글입니다::

요즘 TV에서 자주 뵙는 이호선 교수님
, 따뜻하고 유쾌한 말투 속에 진심이 느껴지는 상담으로 많은 분들이 공감하죠.
저도 방송을 보며 직언도 잘하시고 상담을 하는 것을 들어보며
'참 마음이 편해지는 분이다’라는 생각을 자주 했어요.
그래서 『이호선의 마흔의 기술』 을 읽게 되었을 때,
책 속에서도 그분의 따뜻한 말투와 유머가 음성지원이 되는듯 그대로 느껴졌어요.

이호선의 마흔의 기술은 단순한 자기계발서가 아니라,
‘마흔’이라는 나이대에 찾아오는 혼란과 불안을 차분히 정리해주는 책이에요.
이호선 교수는 책 속에서 “마흔은 인생이 무너지는 시기가 아니라,
다시 세워지는 시기다”라고 말합니다.
20대엔 가능성으로, 30대엔 책임으로 살았다면
40대에는 ‘나 자신’을 다시 중심에 두고 살아야 한다는 메시지가 담겨 있죠.
아이들을 키우느라 정신없었던 30,40대 초반에서 이제 중반을 지나가니
아이들도 사춘기를 지나고 성인이 되어 갑니다.
이 책을 읽는 내내, ‘지금까지 잘 달려왔고, 이제는 방향을 바꿔도 괜찮다’는 용기를 얻었어요.
요즘 여러 프로그램에서 만나는 이호선 교수님의 말처럼,
이 책에서도 인생을 너무 심각하게만 보지 않아요.
‘마흔의 기술’은 실패와 후회를 부정하지 않습니다.
오히려 그 모든 경험이 인생의 기술이 된다고 말하죠.
책의 내용 중 특히 공감했던 부분은 ‘관계의 기술’이었어요.
마흔이 되면 사람 사이의 거리 조절이 참 어렵죠.
이호선 교수는 “좋은 관계는 적당한 거리에서 시작된다”고 조언해요.
이 문장을 읽으며, ‘이제는 내 주변의 관계를 무조건 유지하기보다
서로에게 편안한 거리를 두는 것도 어른의 기술이구나’라는 생각이 들었어요.
이호선의 마흔의 기술 속에서 가장 마음에 남은 문장은
“완벽하려 하지 말고, 괜찮은 어른이 되라”는 말이었어요.
요즘 SNS에서 남들의 삶을 보면
다들 멋지고 완벽하게 사는 것처럼 보이죠.
그럴 때마다 나만 뒤처진 건 아닐까,
나만 불안한 건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 때가 있어요.
하지만 이호선 교수는 ‘괜찮다’고 말해줍니다.
모자란 나도, 흔들리는 나도 결국 삶의 일부이고
그걸 인정하는 게 진짜 어른의 모습이라고요.
이 문장 하나가, 요즘처럼 자기 자신을 몰아붙이는 시대에
너무나 큰 위로가 되었어요.
요즘처럼 불확실한 시대에,
‘잘 살아야 한다’는 압박감에 지친 분들이 많죠.
이호선의 마흔의 기술은 그런 사람들에게
“괜찮아요, 지금도 충분히 잘하고 있어요”라고 따뜻하게 말해주는 책이에요.
TV에서 만나는 그 친근한 웃음처럼,
책 속의 문장 하나하나가 마음을 다독여줍니다.
인생의 반환점에 서 있는 분들,
혹은 이제 막 마흔을 앞두고 있는 분들 혹은 지난 분들이 읽으면
가볍지만 묵직함이 남겨주는 생각의 깊이가 있는 책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