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손 ㅣ 알이알이 창작그림책 14
박완서 글, 조원희 그림 / 현북스 / 2015년 9월
평점 :
현북스 알이알이 창작그림책 14 손은 흐뭇한 미소의 할머니 손과 무엇인가 달라는 듯한 아이의 두 손으로 구성된 겉표지가 시선을 사로잡습니다. 두툼하고 주름 많은 할머니 손, 작고 하얀 아이 손을 보다보니 만나는 사람들의 다양한 손들이 눈에 들어옵니다.
<그 많던 싱아는 누가 다 먹었을까>의 박완서 동화, 조원희 그림이라 어떤 이야기와 그림이 있을지 더 기대해보며 손 이야기 속으로 들어가 봅니다.

사람들이 바쁘게 계단을 올라가는 것과 반대로 지하철 계단을 할머니는 내려갑니다.
지하철을 타고 외출하던 어느날 !
지하철 안의 저마다 음악을 듣거나 핸드폰을 만지는 사람들속에서
노약자석에 앉아있는 할머니
이야기할 사람도 주위에 아무 사람도 없습니다.

그때 아이 손을 잡고 탄 엄마가 할머니 옆자리에 앉습니다.
귀여운 아이는 할머니 얼굴이 아닌 손만 유심히 봅니다.

아이는 할머니에게 묻습니다.
“할머니 손엔 왜 이렇게 주름이 많아?”
아이가 귀여워 할머니는 성의 있게 대답을 해줍니다.
“오래 살면 남들이 할머니라는 걸 알아보라고 주름이 생기는 거야”
아이는 손등의 푸르게 비치는 핏줄애 대해 묻습니다.
늙으면 주사 맞을 일이 많아 잘 보인다고 이야기합니다.
할머니는 재미있어하며 아이와 묻고 대답하는 시간을 갖습니다.
아이는 할머니가 끼고 있는 반지의 알을 만지며 달라고 어리광을 부립니다.
할머니는 이 반지를 아이들이 좋아한다는 것을 알고 있습니다.
이 반지에는 할머니 손녀와의 소중한 여러 추억이 함께 있었습니다.


반지를 달라고 하는 아이를 위해 한번 끼워보게 해주려고 반지를 뺀 순간
아이의 엄마가 거칠게 아이의 팔을 낚아채 아이를 끌고 가서
지하철이 멈추자 아이와 엄마는 황급히 내립니다.
아이가 자꾸 돌아보았지만 할머니는 웃는 얼굴로 배웅할 수 없었습니다.


할머니는 홀로 계단을 향해 걸어갑니다.
동화를 읽은 후 왠지 모를 슬픔과 섭섭함이 느껴집니다. 할머니가 느꼈을 감정들이 고스란히 이 동화를 읽은 사람에게도 오는 듯합니다. 물건을 들고, 잡는 등의 기본적인 일부터 사람과 사람사이에 교류를 할 수 있게 도와주는 손.
요새 들어 손과 손으로 이어지는 정들이 많이 없어짐을 느낍니다.
세월의 흔적과 함께 여러 추억들도 손에 담겨있다고 봅니다.
알이알이 창작그림책 손을 읽으며 우리 아이들에게 어떤 추억들을 담아 주어야 할지 생각해 보게 됩니다.
*초1 아들이 <손>을 읽고 느낌을 표현해보았습니다.*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