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괴 전시회 상상 동시집 26
강벼리 지음, 정마리 그림 / 상상 / 2024년 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요괴전시회💜
—강벼리 시. 정마리 그림 . 상상펴냄—

“가까이 오지마 요게,
요괴라고 부르지마.
내가 누군지 아직 몰라
내 정체를 드러낼 때가 아냐”
-요괴전시회 중에서-

-좀비, 구미호, 늑대인간, 요괴 등등 기이한 것들, 낯선 것들이 나오는 동시집
-칼바람이 쌩쌩부는 겨울날 우연히 ‘요괴전시회’를 보러 갔다는 강벼리 작가님과 엄마의 첫 동시집 ‘요괴전시회‘를 함께 작업해 매우 기쁘다는 정마리 작가님의 그림이 조화로운 동시집

시집이라고 하면 어렵게 느껴지고 이해하기 어려울 것만 같은 나에게 ”요괴전시회“라는 동시집이 왔다.

시인의 독특한 상상의 세계, 판타지 세상이 펼쳐진다.
이야기가 무섭기도 하고 슬프기도 하지만 미소가 지어지기도 한다. 동시들은 아이들의 소소하지만 특별한 이야기를 말놀이로 표현해 놓았다.
뻥쟁이 연우라는 친구가 꼬리가 없는 여우가 되었다가 다시 연우가 되며 선생님께 산만하다고 야단맞는 나는 산보다 커진다. 좀 비밀이 많은 아이, 구슬치기에 미친 호연이 ,빨간아이 , 빨간구두를 신으면 등등 무섭지만 재미나며 아이들의 마음을 들여다보는 동시들이 있다.

아이들에게 가장 익숙한 “학교”라는 공간에서 일어나는 일들을 보이지 않지만 느낄 수 있는 판타지 속의 존재와의 소통으로 표현하였다.

시집에 보면 ”아동문학평론가 이재복“ 님의 해설이 있다.
이 부분을 읽으면 강벼리 시인의 시가 우리에게 어떤 이야기를 하고 있는지, 어떤 의미를 주는지 알게 해준다.
강벼리 시인의 동시집은 이야기가 들어있는데 이런 동시가 사람과 사람, 사람과 비인간계의 존재들을 연결시켜준다고 한다.

작가는 동시를 쓰면서 가장 슬프고 힘든 순간도 눈사람처럼 녹아버리는 마법같은 일들이 수없이 찾아왔다고 한다. 이 동시집을 읽으면서 우리 아이들에게도 슬프고 힘든 일들이 금방 사라지길 바래본다.

—— 상상출판에서 도서를 제공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요괴전시회 #강벼리 #강벼리시인 #강벼리동시집 #정마리그림 #상상출판 #상상동시집 #리뷰 #서평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홀짝홀짝 호로록 - 제1회 창비그림책상 대상 수상작
손소영 지음 / 창비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홀짝홀짝 호로록⭐️
✒️손소영 그림책✒️

“말하지 않아도 알아요!”
”보면서 미소가 지어지는 홀짝홀짝 호로록“
”말랑말랑 따뜻한 느낌의 표지가 기분좋게 해주는 책“

아이들이 제일 좋아하는 동물 친구들이 마시멜로를 동동띄운 코코아를 마시는 모습이 귀엽다. 오리는 이미 잔뜩 마셔서 배불러 앉아있는데 사랑스럽다.
“홀짝홀짝 호로록(손소영 글.그림/창비)“은 손소영 작가님의 두번째 그림책으로 제1회 창비그림책상 대상 수상작으로 “사랑스런 캐릭터들이 부드럽게 이야기를 끌고 가는 마시멜로 같은 작품”이라는 심사평을 받았다.

이 책은 소리와 모습이 그대로 상상이 되는 58가지의 의성어와 의태어를 “타이포그래피” 서체 디자인으로 상징적으로 표현하였다. 작가님이 직접 그림으로 표현하였는데 그 느낌이 그대로 전해진다.

책을 읽을 때 아이들과 상황에 맞게 표정과 몸짓을 따라해보면서 주인공 친구들의 감정을 알게 되고 글을 모르는 아이들도 이야기를 쉽게 이해할 수 있게 된다.

“홀짝홀짝 호로록”은 강아지,오리 그리고 고양이가 처음 만나 자연스럽게 친구가 되어 간다는 내용이다.
배고픈 오리와 강아지가 먹이를 찾다 고양이가 사는 집에 들어간다. 고양이의 우유를 먹자 고양이가 “버럭” 화를 내다 방귀를 뀌는데 부끄러워 하는 고양이를 위해 오리와 강아지가 함께 “뿡”하면서 냄새가득한 공간에 “우하하하”웃음소리로 꽉 채워진다.
이렇게 친구가 되고 이리저리 몰려다니고, 신나게 놀다가 물에 쫄딱 젖기도 한다. 추위에 떨던 친구들이 따뜻한 벽난로 앞에서 곰이 주는 코코아를 함께 마신다.

신나게 친구들과 놀다 들어와 따끈한 코코아를 마신다면 그 보다 더 큰 행복이 있을까? 이런 장면을 보면 마음이 따뜻해지며 몽글몽글해진다. 이런 친구들이 있으면 너무 행복할 것 같다.
우리 아이들이 이 책을 읽으면서 신나게 놀고 따뜻하게 잠들었으면 좋겠다는 작가님의 말씀이 그대로 와닿는 그림책이다.

*창비출판사에서 도서제공을 받아 작성한 리뷰입니다“

#홀짝홀짝호로록 #창비 #창비그림책상 #그림책 #그림책추천 #독서 #책추천 #책육아 #추천도서 #손소영 #손소영그림책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
 
 
 
조물조물 나물이야기 - 우리 땅의 우리 나물, 맛있고 재밌게 즐기자
고화순 지음 / 행복에너지 / 2023년 12월
평점 :
품절


=========

<조물조물 나물 이야기>
고화순 /지음
오다감/그림
행복에너지/도서출판

=========

<차례>

PART 01. 엽채류(葉菜類, leafy?vegetables) ː 새잎을 먹어요.

PART 02. 순채류(筍菜類, shoot vegetables) ː 새순을 먹어요.

PART 03. 경채류(莖菜類, stem?vegetables) ː 줄기를 먹어요.

PART 04. 과채류(果菜類, fruit?vegetables) ː 열매를 먹어요.

PART 05. 근채류(根菜類, root?vegetables) ː 뿌리를 먹어요.

PART 06. 산채류(山菜類, mountain?vegetables) ː 자연을 먹어요.

=========

저자인 고화순님은 대한민국 식품명인으로 1969년 경북 울진에서 태어났으며 경희대 경영 대학원에서 경영학 석사를 받았고, 1998년 미소 식품을 설립하여 2011년 농업회 사법인 하늘 농가(주)로 전환해 대표를 맡고 있다고 한다.
고사리나물 제조 방법을 1대 외할머니와 2대 친정어머니로부터 전수받은 장인이며 현재 딸(4대)까지 100년이 넘도록 가업을 잇고 있으며 우리나라에서는 처음 나물류로 대한민국 식품명인과 기능한국인에 선정되었다고 한다.

=========

현대인이 겪는 비만, 성인병 문제는 대다수 과식과 육식에서 비롯된 것이라고 볼 수 있는데 세계적으로도 '건강'과'환경'을 생각해서 채소를 많이 먹는 다고 한다.
‘나물’하면 우리의 식생활에 가장 익숙한 깻잎, 시금치, 고사리, 숙주, 콩나물, 취나물, 고춧잎나물등등 을 떠올린다. 여기 50가지의 나물에 대해 그림과 함께 자세한 설명이 있는 책이 있다.
‘조물조물 나물 이야기’ (고화순 지음, 오다감 그림, 행복에너지펴냄)는 단순하게 나물 요리법을 담은 것이 아니라 대한민국 식품명인인 저자의 나물에 대한 사랑, 타협하지 않는 고집, 나물을 대하는 철학이 고스란히 담겨 있다.

50가지의 나물을 잎을 먹는 엽채류, 새순을 먹는 순채류, 줄기를 먹는 경채류, 열매를 먹는 과채류, 뿌리를 먹는 근채류, 산에서 자생하는 식물을 활용하는 산채류로 분류하여 다루었다.
이렇게 나누어 놓으니 생각보다 먹을 수 있는 나물들이 많다는 것을 알 수 있다.


아이들과의 건강한 식생활을 위해 자주 먹는 익숙한 나물류 뿐 아니라 삼잎국화, 피마자나물, 영아자나물, 전호나물 등 처음 들어보는 생소한 나물들을 알아가는 재미가 있다.


그리고 나물 각각의 설명(역사, 재배방법, 특징)을 ‘오다감’님의 세밀화와 함께 구성해 놓아 이해하기가 쉽다. 살면서 한번쯤 보았을것 같은 나물들이 있다.
또한, 나물마다 영양소의 분포와 고르는 방법, 다양한 요리방식, 저장방법까지 알 수 있게 설명해 놓았다.
이 책은 ‘나물요리‘가 어렵다고 느끼는 주부들에게 많은 도움이 되어 건강한 집밥을 쉽게 만들 수 있게 해 줄 것이다.

나물은 대부분 재배가 쉽고 병충해에 강하여 농촌과 산촌에서 그 지역의 관광식품으로 개발하고 해외수출로 이어지고 있어 미래가 밝다고 한다.
명인 고화순님의 꿈인 우리 나물 문화를 유네스코 세계문화유산에 등재시키고 K팝처럼 K나물이 세계인의 사랑을 받는 날이 오길 바래본다.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받아 솔직하게 작성한 리뷰입니다.

#고화순 #조물조물나물이야기 #고사리나물명인 #대한민국식품 #명인90호 #나물 #제철나물 #한식 #음식 #요리 #식재료 #행복에너지

#도서협찬 #책스타그램#독서#책추천#서평단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