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한국의 민속예술 ㅣ 현대의 지성 37
임재해 / 문학과지성사 / 1988년 7월
평점 :
품절
우리의 전통예술을 귀족예술과 민속예술로 구분해 볼때, 양자의 관계는 우열이나 선악의 논리로 설명 되어서는 안된다. 그리고 문화의 기원을 밝히려는 작업에서 외래기원설이냐 주체기원설이냐가 상당한 논란거리로 남는데, 이상적인 문화의 순수성이란 우스운 가상에 지나지 않는다. 모든 문화는 그들만의 주체적인 문화이고 또한 외래의 다양한 문화를 수용한 것이다. 문제는 그러한 문화가 얼마나 삶의 해방에 기여하고 있느냐 혹은 창조적 생명력을 발휘 하느냐에 있다.
이 책은 우리의 민속에술인 가면극, 음악, 미술, 무용을 다루고 있다. 문학이 빠져 있는 것은 그 자체가 하나의 상위범주로서 설화, 민요, 무가, 가면극을 포함하는 상대적으로 다른 민속예술의 하위범주들에 비해 광범위한 카테고리와 분량을 차지하고 있어서일것이다.
민속예술을 광범위하게 조망하되 세부적인 부분에 있어서도 결코 소흘하지 않는 여러 글들은 앎의 즐거움으로 읽는 재미를 배가시켜준다.
민속예술의 연구에 많은 성과를 내 놓은 필자들의 뒤어난 저술들을 모아 놓았다는데서도 이 책의 가치는 높이 평가될 수 있다. 그럼으로써 민속예술의 개론적 소개를 제대로 하고 있다.
책을 엮은 임재해의 글들은 현장론적 관점 다시말해 예술사회학적 관점을 반성적으로 검토한 방법론을 통해 우리 민속예술의 전반에 접근하고 있다. 매우 바람직한 연구 방법론이라 여겨진다.
민속문화의 핵심은 종교성에 있다. 종교적 성질이 탈락될때, 민속문화의 기능은 새롭게 전이되고 그 본질적 생명력은 심가한 타격을 받게된다. 그 장구한 전승력 또한 민속예술의 종교적 성질에서 비롯하는 것이다. 이에대한 본격적인 연구가 필요할것 같다.
또한 민속예술은 민족에술로서의 민중성에 기반하고 이는 개성보다는 공동체적 유기성에 기반한다. 이러한 민중성과 공동체적 성격은 분열되고 파편화되고 있는 이 시대의 문화적 병폐속에서 새로운 논리의 방향을 제시해 줄 수도 있다. 영국의 마르크스주의 문예비평가인 레이몬드 윌리암스도 전통속의 공동체성을 천착해 들어갔는데, 그러한 논리도 나른대로 생각해볼만한 가치가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