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리스인 조르바 열린책들 세계문학 21
니코스 카잔차키스 지음 / 열린책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살아가다보면 인생을 풍부하게 만들어주는 인생의 스승이 있다. 유명한 일례로 영화감독 팀 버튼에게는 에드 우드가 있었다. 헐리우드에서 성공적으로 살아남은 당대 최고의 상상력을 가진 감독에게, 실패한 영화를 만들고 실패한 인생을 살아간 에드우드가 인생의 스승이라니. 카잔차키스도 마찬가지다. 조르바의 표현대로 젊겠다, 돈이 있겠다, 건강하겠다, 사람 좋은 가잔차키스의 스승이 늙고 가난한 노동자 조르바라니. 그 연유가 궁금하여 팀버튼의 영화 '에드 우드'를 보니 다 이유가 있었다. 그렇다면 카잔차키스는 어떤 점에서 조르바를 위해 책을 쓰면서도 '조르바라는 위대한 자유인을 위해서 겨우 책 한권을 썼다'라고 표현했을까?

 

지문과 경험에 차이에서의 깨달음

 조르바를 만나기 전 카잔차키스는 친구에게 책벌레라는 비난을 받는다. 그는 그 친구의 말에 항변하기 위해 행동하는 삶을 살기로 결심한다. 그리고 크레타로 떠나 자신을 구하기 위해 남을 구하려고 애쓰는 노동을 하려고 계획한다. 그리고 그 여행 중간에 만난 조르바를 대리고 간다. 그가 처음으로 본 조르바는 야성의 영혼을 가진 사나이이자 모태인 대지에서 탯줄이 떨어지지 않은 사나이다. 작가의 인생이 책의 지문으로 정의 된 인생이었다면 조르바의 인생은 행동으로, 경험으로 정의된 인성인 것이다. 작가는 인생을 삶과 경험을 통해 겪이 위해 그에 적합한 인생을 산 조르바와 동승한다.

 일을 시작한 카잔차키스는 조르바를 통해 배워가며 발전한다. 한 예를 보자. 작가는 젊은 나이에 많이 배워 똑똑한 사람이다. 그는 탄광 사업을 통해 하나의 유토피아를 건설하려 한다. 그래서 노동자들의 편의를 봐주고 좀 더 그들에게 다가가는 인정 많고 훌륭한 자본가가 되려한다. 그 순간에 조르바가 그를 말린다. 조르바는 작가에게 말한다. 인간은 짐승이라고. 사납게 대하면 존경하고 친절하게 대하면 눈이라도 뽑아갈 것이라고. 또한  작가가 노동자들에게 비참한 삶에 대해 계몽을 하려는 순간에 조르바가 다시 한번 나선다. "사람들을 좀 그대로 나둬요. 그 사람들 눈 뜨게 해주려고 하지 말하야. 혹 눈을 떴다고 치면 당신은 지금의 암흑 세계보다 더 나은 세계를 보여줄 수 있어요?" 조르바는 현미경을 통해 물 속의 기생충을 보는 것 보다 현미경을 부수고 물을 먹는 것이 더 현명하다는 것을 몸으로 아는 사람이다. 모르는 게 약이라는 계몽의 불필요성을 삶으로 증명하는 자인 것이다.

 작가는 조르바에 대해 말한다. 조르바는 뱀과 같이 대지의 비밀을 배로, 꼬리로, 머리로 느끼는 자라고. 그리고 교육받은 우리는 공중에 나는 새처럼 골이 빈 것이라고.

 

쾌락의 자유

 조르바를 설명할 수 있는 또 다른 특징은 바로 여자다. 그는 여자 앞에서 꼼짝하지 못한다. 여자를 꼬시고 같이 자는 것이 인생이라고 표현하는 그는 자신의 말처럼 그 자유를 여과 없이 누린다. 그의 사랑에는 구속이 없다. 어떤 여자를 만나고 있어도 더 좋은 여자를 만나면 그 여자에게 몸을 내주고 자신이 만나는 여자가 다른 남자에게 가도 그저 슬퍼할 뿐 구속하지 않는다. 그가 가장 좋아하는 여자는 과부이다. 그런 면에서 그는 천성적으로 성자이다.(물론 자신의 표현이지만). 과부는 항상 남자를 원하며 그는 저 위대한 신 제우스처럼 과부들의 요구를 들어주기 때문이다. 이처럼 조르바는 자신의 쾌락을 누리는 데에 있어서 인간이 만들어낸 도덕이나 관습, 더 나아가 신의 계명조차 버릴 준비가 되어 있는 사람인 것이다. 게다가 그는 마을의 과부와 서로 눈이 맞았으면서도 자지 않는 카잔차키스에게 그건 죄라고까지 말한다. 부끄러움과 관습에, 도덕에 의해 과부와 동친하지 않았던 작가는 어느날 우연히 과부의 집에 가 과부와 동침을 하고는 조르바의 말이 맞았다는 것을 인정하고 만다. 이렇듯 조르바는 쾌락의 자유를 누리는 데에 있어 카잔차키스의 선구자 역할을 한다. 육체가 영혼의 감옥이라는 플라톤적 생각에서 육체 또한 영혼이라고 깨닫게 되는 계기가 되는 것이다.

 

선 긋기

 작가가 외치던 <국가>와 <인간>의 개념은 또 한번 조르바에 의해 수정된다. 그것을 초월하는 <초국가>와 <인간성>의 인생을 사는 조르바가 작가 카잔차키스에게 하나의 교훈을 준 것이다. 그는 작가에게 이렇게 말한다. "조국이라고 했어요? 당신은 책에 쓰여 있는 그 엉터리 수작을 다 믿어요? 조국 같은 게 있는 한 인간은 짐승, 그것도 앞,뒤 헤아릴 줄 모르는 짐승 신세를 벗어나지 못합니다."

 조르바의 말을 증명할 수 있는 사건이 마을에서 발생한다. 두 번의 죽음이 마을을 덮친 것이다. 첫 번째 죽음은 파블리의 자살로 마을 전체가 자살의 원인이 된 과부를 증오한다. 그리고 죄악인 것을 알면서도 과부를 살해할 정도로 파블리의 죽음을 안타까워하고 아쉬워한다. 하지만 외국인 오르탕스의 죽음에서 이들의 모습은 어떠한가. 죽기 전에 곡을 하기도 하고 무엇을 훔칠까 고민하는 모습을 보며, 비극적 죽음을 옆에서 바라보면서 낄낄거리는 크레타인을 보며, 작가는 이들이 인간이 아닌 것 같다는 생각을 학 된다. 같은 국가, 다른 국가라는 마음의 선이 우리에게 보편적으로 다가오는 죽음에 대한 태도 마저 차별화 시킬 수 있음을 조르바는 진작에 파악한 것이다.

 

실패자의 성공

 조르바가 마지막으로 카잔차키스에게 일려준 것은 해방감이었다. 그들은 일획천금을 꿈꾸며 사업이 성공하길 빈다. 그들을 성공의 갈망으로 괴롭히던 사업의 승패가 마침내 판단의 기로에 섰을 때 그들은 실패를 경험한다. 즉, 빈털털이가 된 것이다. 작가와 조르바는 그곳에서 역설적으로 가장 큰 자유는 느낀다. 그들은 실패를 통해서 영혼의 문에 자물쇠를 하나 더 다는 것을 경험하게 되는 것이다. 보이지 않는 강력한 적을 막기 위한 문에. 그로 인해 그들은 외부적으로 참패하면서도 정복자가 되었고 그것은 지고의 행복으로 바뀐다.

 

 작가는 조르바를 통해 야만의 세계를 확인하고 자유를 느낀다. 그는 위대한 사상에서 행복을 찾는 것이 아니라는 것을 알게 된다. 진정한 행복은 맑은 공기, 태양, 바다, 빵, 사랑과 같은 단순하고 영원한 것에 있다는 것을 터득한 것이다.

 이제 나에게 조르바는 단순히 늙고 가난한 노동자가 아니다. 자유를 아는 제대로 된 '인간'이자 언어, 예술, 순수성을 사랑하고 열정이 있는 자, 진리를 발견한 자가 된 것이다. 이런 그에게 작가가 말한 것처럼 책 한권은 '겨우'가 아닐까? 그를 위한 경배는 당연한 것이 아닐까?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