판탈레온과 특별봉사대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4
마리오 바르가스 요사 지음, 송병선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완벽한 전략가 혹은 판티랜드의 파라오>

 

 판탈레온과 특별봉사대. 이 한 문장에 두 가지의 이중성이 존재한다. 먼저 판텔라온. 그는 군에서 가장 훌륭한 전적을 가진 군인이고 군 당국의 명령에 어떠한 불만도 없이 최선을 다하는 사람이다. 그러나 그 역시 유혹에 빠지게 되고 그 유혹이 군의 명령인지 혹은 자신의 개인적 감정인지 혼동되는 상황을 초래하게 된다. 그가 그런 상황을 만들어낸 것에는 ‘특별봉사대’가 가지고 있는 개별적 속성 때문인데, 그것은 사회의 악으로 규정되는 매춘을 암묵적으로 수행해야 하기 때문이다. 가장 은밀한 곳에 존재하는 매춘이 군에 의해 명령으로 수행된다는 것, 그래서 매춘이 표면으로 끌어올려진다는 점이 이 소설의 이중성을 설명하는 가장 좋은 성격이다.

 

<완벽한 전략가>

 

 판텔라온을 보면 생각나는 사람이 있다. 바로 한나 아렌트에 의해 세상에 알려진 아이히만이다. 그들의 특징은 ‘사유의 불가능성’이다. 판탈레온은 전형적인 사유불가능자다. 그는 상관의 명령에서 어떠한 가치판단도 하지 않는다. 이것이 그가 완벽한 전략가가 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만약 그의 위에 있는 상관이 그에게 내린 명령이 선의의 것이라면 그는 전쟁 영웅이 될 것이다. 그러나 그것과 반대라면 그는 최악의 범죄자가 될 것이다. 아이히만같이. 작가는 판텔라온이 특별봉사대를 조직하는 것과 함께 광신도인 프란시스코 형제가 하나의 종교를 만들어내는 것을 같이 보여주는데, 이것은 군 당국 - 프란시스코, 판텔라온 - 프란시스코의 맹신자들 이라는 하나의 도식을 효과적으로 보여준다. 그들의 유사성으로 인해 독자들은 명령 체계(종교적 도덕)의 무비판적인 수용이 폭력에 얼마나 무심해질 수 있는지 볼 수 있는 것이다. 예컨대 프란시스코의 맹신자들이 동물들의 시체를 십자가에 못 박는 것, 더 나아가 그 대상이 인간으로 발전하는 것과 판텔라온이 특별봉사대를 조직하는 것, 그리고 그것을 확장하는 것을 대조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그들의 행위에서 폭력에 대한 저항이 점점 무뎌지는 것을 목격하게 한다. 특히 판텔레온이 미스 브라질과 자신의 의무감에 반하여 섹스를 즐기는 것에 대한 변명으로 군의 명령을 얘기하는 것과 죽은 미스 브라질을 위해 군의 피해를 주는 행위하는 것을 보면 그의 의무감이 위선으로 보이지만 그가 수모를 겪으면서 까지 전역을 하지 않는 것을 보면 그것이 아닌 것 같기도 하다. 한 가지 확실한 사실은 그의 모든 삶에는 ‘명령’이 반드시 존재해야 하며 그것 없이는 스스로가 존재할 수 없다는 사실이다. 마지막으로 특별봉사대가 해체되고 봉사대원들이 그에게 사업을 제안했을 때 그가 했던 말이 그 사실을 증명해준다. “나는 윗사람이 필요해. 그들이 없으면 난 뭘 해야 할지 몰라. 그렇게 되면 난 순식간에 무너지고 말아.” 그렇다. 그는 명령이 있으면 완벽한 전략가다. 그러나 명령이 없으면 아무것도 아니다.

 

<판티랜드의 파라오>

 

 좀 더 거시적으로 바라보면 어떨까? 결국 그는 왜 그런 곤경에 처한 것일까? 특별봉사대가 조직된 이유는 병사들의 강간(죄) 때문이다. 그리고 군의 행정장교들은 끊임없이 발생하는 범죄를 미연에 방지하기 위해 특별봉사대라는 이름으로 창녀들을 모집한다. 그들은 군에서 암묵적으로 인정하는 하위기관이 되는 것이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암묵적’이라는 수사적 표현이다. 이 암묵 사이에서 수많은 문제가 발생한다. 이 특별봉사대는 라캉이 말한 ‘대타자’의 아주 정확한 예를 보여준다. 누구나 알고 있지만 누구도 말할 수 없는 것. 특별봉사대는 개인적, 사적 차원에서는 누구나 원하는, 그래서 군에 종속되는 것을 질투하는 것이 된다. 그런데 그것이 공적 차원으로 넘어가기만 하면 비난의 대상이 되고 죄악의 뿌리가 된다. 작가는 군대라고 하는 무조건적으로 도덕적이어야 하는 조직에 사회의 필요악이라고 평가되는 매춘을 끌어들임으로써 이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 결과로 개인의 욕망과 사회적 체면의 간극 사이에서 매춘과 창녀들은 언제나 희생될 수밖에 없다. 그들은 군의 사기를 올려주면서도 공공으로 승화되는 순간 비난의 대상이 된다. 이것은 남성주의 사회에서 끊임없이 만들어낸 여성의 이미지를 환기시켜준다. 이들의 이미지는 단순히 현상이 아니라 남성들의 대상화 일뿐이다. 그래서 남성들은 그들을 욕망함과 동시에 비난할 수 있게 된다. 그래서 그들은 언제나 사회 외부에 머물 수밖에 없게 된다. 특히 마지막 부분에 극 중 등장하는 모든 인물들이 뿔뿔이 흩어진 특별봉사대의 창녀들과 관계를 맺는 장면에서는 그 효과가 극대화된다. 그 인물들 중 특별봉사대에 대해 비난하거나 침묵하거나 동조하는 자들이 모두 들어있는데 단 하나, ‘특별봉사대였던 자’만 없다. 그렇게 그들은 끊임없이 대상화되는 것이다. 판탈레온도 마찬가지다. 특별봉사대의 창녀들이 마지막으로 그를 떠나는 것을 슬퍼하는 장면은 정서적인 면에서 감동적이다. 그런데 그 이면을 바라보면 그가 떠나 아쉬운 것은 1)그가 특별봉사대를 효율적으로 관리했기 때문이고, 2)그가 떠나는 것은 예전에 있던 장소로 돌아간다는 것 - 즉 그것은 항상 위험에 노출되는 삶을 다시 살아야 된다는 것 - 을 뜻한다. 그런 점에서 그는 누군가의 비난대로 ‘판티랜드의 파라오’가 맞다. 그가 정당하다면 그것은 그들을 위했다는 것이다. 그러나 그렇다고 그가 비난받지 않아야 된다는 것은 아니다. 왜냐면 그는 ‘그들’이 아니니까. 그는 그저 관리자일 뿐이고 관리방법이 효율적이라고 해서 그가 좋은 사람이 되는 것은 아니다. 그저 좋은 관리자가 될 뿐이다. 개인적인 생각으로 작가가 지적하는 것은 이것이 아닐까 하는 생각이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2)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