황금 물고기 (무선) 문학동네 세계문학전집 5
J.M.G. 르 클레지오 지음, 최수철 옮김 / 문학동네 / 2009년 1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그녀는 아무것도 아니다. 굳이 제목을 연관 지어 얘기해보자면, 그녀는 불가피하게 물고기가 될 수밖에 없는 존재다. 제목이 나타내고 있는 중첩된 비유는 언제나 늘 이야기를 풍성하게 한다. 왜 그녀가 물고기일 수밖에 없는지, 물고기는 무엇인지, 그녀를 둘러싸고 있는 물은 어떤지, 그리고 왜 ‘황금’인지를 생각하는 것. 이것이 이야기를 항상 더 풍성하게 하는 것이다.

 

<물고기>

 

 그녀는 이름도, 고향도, 부모도 없다. 태어났을 때부터 누군가에게 건네진다. 그리고 그 ‘건네짐’은 삶에서 끊임없이 변주되면서 반복된다. 이 건네짐의 물살에 의해 이동하게 되는 그녀의 삶을 물고기라고 표현할 수 있을 것이다. 극의 시작부터 끝까지 거의 대부분 그녀의 행동에는 의지가 나타나지 않는다. 그녀의 삶에서 도망가고 따라가고, 무언가를 배우게 되고, 경험하게 되고, 머무는 행위를 하게 만드는 숨은 주체는 ‘누군가’이다. 그 ‘누군가’는 단 한번도 ‘그녀 자신’이 되지 못한다. 이것은 물고기가 물이 없이 스스로 움직일 수 없는 것과 마찬가지이다. 그녀를 움직이게 하는 모든 것들, 예컨대 폭력, 운명, 사랑, 배움 등이 그녀를 가두는 동시에 움직일 수 있게 하는 가능성으로 존재한다. 여기서 좀 더 확장해보자. 소설의 화자인 그녀는 여러 가지 이유로 이런 특수성을 갖는다. 그렇다면 그녀보다 상대적으로 자유로운 우리는 어떠한가? 우리는 모든 것을 스스로 결정하는가? 아니면 모든 것이 아니더라도 최소한의 것을 우리 스스로 결정하는가? 우리도 어떤 물살에 떠 밀려다니는 물고기가 아닐까? 우리를 둘러싸고 있는 환경은 소설 속의 환경과 달리 표면적으로 우리의 의사를 결정해주지 않는다고 해서 우리가 위의 질문으로부터 자유로워진다는 것은 아니다. 그렇다면, 우리도 물고기가 아니라고 부정할 수 없다면, 왜 그녀는 ‘황금’ 물고기인가?

 

<황금 물고기>

 

 물고기를 수식해주는 황금이라는 형용사는 화자의 모든 상황을 설명해준다. 그렇다면 황금은 무슨 의미를 가지고 있는가? 첫 번째로 그녀가 선천적으로 가지고 태어난 피부색. 이 피부색으로 인해서 연쇄적으로 다른 특징들을 갖는다. 그녀가 백인 사회로 들어갔을 때, 그녀는 흑인이라는 이유로 ‘희귀’해진다. 그리고 또한 ‘독특’해진다. 백인 남성 혹은 여성들에 의해서 그녀는 관계를 맺는 인격체가 아닌 소유물이 된다. 그녀가 끊임없이 하는 집안일도 백인들이 흑인을 바라보는 하나의 시선을 형성한다. 이것이 황금이 나타내고 있는 역설적인 진실인 것이다. 두 번째로 특징지어 질 수 있는 것은 ‘빛남’이다. 이것은 같은 흑인이 그녀를 바라보는 하나의 감정인데, 그녀는 다른 의미에서 그 흑인들과 ‘같아’질 수 없다. 예를 들어 하킴에게 그녀는 공부를 해서 뛰어난 학자가 될 수 있는 가능성으로 존재하며 시몬에게는 귀가 멀었다는 이유로 뛰어난 가수가 될 수 있는 가능성으로 보인다. 그들은 그녀를 소유하지 않는다. 그저 하나의 성공 가능성으로 바라보는 것이다.

 이 두 가지 사실은 백인 사회에서 흑인을 바라보는 하나의 시선을 만들어낸다. 보편적으로 백인들에게 흑인은 단지 소유물일 뿐이며 이것은 역사가 형성해온 하나의 폭력이다. 그리고 흑인들에게는 ‘다른’ 문화를 형성하는 것이 아니라 백인과 같은 문화 안에서 같은 방식으로 좀 더 우월해지는 것을 선택하게 하는 또 다른 폭력을 발생시킨다. 하킴이 박물관에서 비탄할 수밖에 없었던 것은 흑인들의 문화가 백인들에 의해 전시된다는 사실이다. 이 전시 행위는 흑인의 문화가 전시할만한 가치가 있다고 여겨지기보다 백인들에 의해 규정되어지고 있다는 점에서 절망적이다. 그런데 하킴은 미국에서 배우며 성공을 꿈꾼다는 점에서 스스로 또 하나의 조각상이 되려 한다. 비교적 지식인으로 대변되는 하킴 역시 비판적인 동시에 그것을 수용할 수밖에 없는 것을 통해 백인-흑인 사이에 뿌리내린 인식이 얼마나 깊은가를 보여준다.

결국 이 황금이라는 형용사는 정확히 우리가 알고 있는 사물로서의 황금을 대변한다. 그것을 둘러싼 폭력과 허황된 꿈의 상징으로서 황금 말이다.

 

<귀환 혹은 반복>

 

 결말 부분에 작가는 두 가지 가능성을 암시한다. 이 두 가능성은 긍정과 부정이 섞여 있어 하나의 역설을 이룬다. 그녀의 귀환이 스스로의 선택에 의한 것이라는 점에서 긍정적인 데 비해 결국 그녀는 그곳에서 장이라는 백인 남성에게 의지한다는 점에서 그녀가 아직도 굴레로부터 자유롭지 못하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그녀가 출산을 준비하는 것은 그녀가 자신의 근원을 찾았음을 알리는 동시에 그녀의 아이도 역시 그녀와 같은 운명을 반복할 수 있음을 보여준다. 우리는 이것이 어떤 결과를 만들어낼지 알 수 없다. 작가의 말처럼 ‘부족의 시대를 벗어나 사랑의 시대’로 들어서는 것인지 아니면 끊임없는 폭력에 굴레에서 벗어날 수 없는 것을 의미하는 것인지.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