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유물멍 : 가만히 바라볼수록 좋은 것들
국립중앙박물관 유물 큐레이션 「아침 행복이 똑똑」 필진 지음 / 세종(세종서적) / 2025년 1월
평점 :
안녕하세요.
현대인의 삶은 한마디로 양육강식의 연속이라고 말할 수 있어요. 아무래도 삶이 그러다보니까 숨가쁘게 살아갈 수밖에 없는 것 같아요. 때론 너무 피곤하고 낙심하기가 어찌보면 당연한 것 같아요.
우리도 모르게 그냥 멍을 때리고 싶을 때가 절로 생각나게 하는 것 같더라고요. 우리의 시대적 상황이 사람들의 모습 속에서 자연스럽게 드러나게 되는 것 같아요.
아마 여러분도 마음이 편해졌으면 좋겠다고 생각에 잠기는 경험을 해 보셨을 거예요?
박물관은 오래된 것을 한 곳에 모아 놓은 곳이예요. 이 곳에서 마음의 안식과 평안을 얻고자 찾아온 사람들의 이야기를 모아 한 권의 책으로 펴냈더라고요. 책의 제목은 세종서적의 신간 <유물멍>이예요.

과연 사람들은 투명한 유리창 사이로 보이는 역사의 조각들을 바라볼때마다 어떤 생각을 했을까요?
박물관 큐레이터와 관람객이 뽑은 최애 유물은 우리 일상에 놓인 물건들처럼 각기 쓰임이 있더라고요. 오래된 물건은 긴 시간을 여행해 끝에 저희 곁으로 찾아왔더라고요. 바라볼수록 좋은 것들이 한 권의 책 속에 담겨 있더라고요.
사람은 저마다 자신의 기준과 생각으로 뽑고 이야기를 한다는 사실을 이 책으로 다시 한번 느끼게 되었어요. 사람이 같은 것을 보아도 만 명에게 저마다 이야기를 가지고 있으니까 얼마나 다양한 지에 대해서 새삼스럽게 느끼게 되었어요.
부록 <큐레이터와의 만남>에서 어디서도 들을 수 없었던 박물관의 뒷이야기를 솔직하고 담백하게 들 을 수 있어요. 조선시대 전란으로 사라진 이들을 달래는 프로젝트이자 사찰의 보물인 괘불은 건물 수준의 압도적인 크기와 화려함에 놀라지 않을 수 없어요.
우리가 일반적으로 큰 맘을 먹지 않으면 찾기 쉽지 않아요. 한편으로 우리가 어딘가로 떠나지 않고도 얼마든지 시간과 문화 여행을 할 수 있는 곳이 이곳이예요. 저는 개인적으로 청아한 색이나 둥글고 넉넉한 모습을 바라보는 데 지치고 피곤한 몸과 마음을 마치 눈녹듯이 평안해졌는지 모르겠네요.
<유물멍>은 긴 시간을 지나 우리에게 온 유물들에 대해서 들여다볼 수 있는 책이예요. 그 속에 담긴 다양한 이야기들을 빛나는 사진으로 생생하게 만나볼 수 있어서 너무 좋아요. 요즘 날씨가 춥다보니까 자연스럽게 집에 머무는 시간도 많아지는 것 같아요. 이때 집에서 따듯한 차 한 잔을 마시면 우리 자신에게 좋은 것들으로 시간을 보내면 너무 좋을 것 같아요. 오늘 내게 좋을 것을 찾는 마음으로 조금 천천히 책장을 넘겨보세요.
저도 이 책을 곁에 두고 수시로 그들의 이야기가 담겨 있는 책을 통해서 그들의 소리에 귀기울여 보아야겠어요. 기회가 되는 대로 박물관으로 자녀와 함께 찾아야겠어요.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도서를 제공 받아
주관적인 서평을 작성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