애프터 워크 - 가정과 자유 시간을 위한 투쟁의 역사
헬렌 헤스터.닉 서르닉 지음, 박다솜 옮김 / 소소의책 / 202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녕하세요.

오늘 여러분과 나눌 책의 제목은 소소의 책에서 출판한 신간 <애프터 워크>예요.



<애프터 워크>는 노동을 키워드로 작성된 책이예요. 저자는 독자들에게 인류 역사 속에서 나타난 노동에 대한 관점의 변화와 오늘 우리 시대의 관점으로 바라본 노동에 대한 의미 및 대안을 제시해 주고 있어요.

작년에 한 해동안 직장생활의 워라벨과 주간 52시간 노동시간의 법제화 변경에 대해서 큰 이슈를 낳았어요. 2022년 한 해 동안 한국 노동자의 주당 근로시간은 1,901시간이예요. 이는 OECD에 가입한 나라들 가운데 가장 많은 근무시간에 해당돼요. 실제로 우리 나라 노동자의 주당 근로시간은 세계에서 가장 긴 시간 동안 근무하고 있어요.

기업측에서 법적으로 인정하는 주당 근로시간을 주 52시간에서 주 69시간으로 늘라고 강력하게 제시했지만 노동조합과 청년들의 강한 반발로 힘겹게 버티어 냈어요. 모든 분야의 한국 노동자의 평균 여가 시간이 크게 감소되었어요.

외국 전문가의 눈에 비친 우리 나라 노동의 현실에 대해서 들어볼 기회가 많지 않다보니까 상당히 흥미롭더라고요.



책은 일의 감소를 할 수 있을지에 대한 질문으로 시작해요. 마지막 6장에 어떻게 요구할 것인지를 다루고 있어요. 특히 저자는 가족 내에서 행해지고 있는 노동을 다루고 있더라고요. 사실 우리가 노동을 떠올리면 자연스럽게 회사나 육체 노동을 떠올리잖아요. 우리는 노동을 경제적 활동과 연관지어 생각하는데 가정 내에서 일어나는 노동의 불평등에 대해서 이야기하는데 깜짝놀랐어요. 이런 인식의 출발은 우리의 전통문화적 관점에서 비롯된 것 같아요.


아무리 시간이 흐르고 과학기술의 발달로 인해서 가사노동에 많은 발전을 가져왔지만 아직도 개선해야 되어야 할 부분이 많더라고요. 저자는 유럽의 사례와 문화적 배경을 토대로 제시하고 있기 때문에 당장 우리 사회에 바로 적용할 수 없는 것들도 있지만 여러 가지 제시해 준 제안을 통해서 우리의 문화적 배경에 맞게 하나씩 논의하고 노력해 나가면 좋을 것 같아요.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