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왜 나를 사랑하지 못할까 (출간 10주년 기념 스페셜 에디션) - 쉽게 상처받고 주눅 드는 사람들을 위한 자기사랑의 심리학
롤프 메르클레 지음, 유영미 옮김 / 생각의날개 / 2023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안녕하세요.

오늘은 여러분과 함께 생각의 날개에서 출판된 신간 <나는 왜 나를 사랑하지 못할까>에 대해서 나누어 보려고 해요.



저자의 주장대로 자존감이 높은 사람을 보면 다른 사람에 대해서 상당히 긍정적인 바라보는 것 같아요. 때론 상대방이 자신보다 다소 부족한 면을 가지고 있더라도 그것에 대해서 비판하지 않을 뿐만 아니라 그것으로 자신을 깎아내리지 않는 것 같더라라고요. 그런데 자존감이 낮은 사람은 자신의 본래 모습을 다른 사람들 앞에서 쉽게 드러내지 못해요. 왜냐하면 평소 그들의 모습조차 매우 부정적인 시각으로 바라보기 때문이예요. 실제로 자존감이 낮은 사람을 보면 스스로 끊임없이 자신의 부족함을 찾아내더라고요. 이 후 그것으로 자신에 대해서 부정적인 생각과 표현으로 사정없이 찌르더라고요. 이런 모습을 바라보면서 제가 더 속상하더라고요.

저자는 우리의 자존감에 대한 문제를 자신의 객관적인 조건들의 문제라기보다 자신을 바라보는 관점에 달려 있다고 설명해 주세요. 이런 측면에서 자존감은 누군가에게 얼마나 많은 인정을 받느냐에 달려있는 게 아니라 오히려 자신을 있는 그대로 받아들이고 인정하는 게 중요해요. 바로 여기에서 출발해야 돼요. 만약 우리가 이 부분에 대해서 회복되지 않으며 결코 타인을 사랑할 수도 없을 것 같아요.

실저로 자신에 대해서 스스로 안 좋게 생각하는 사람들을 보면 다른 사람들의 말과 행동에 대해서 쉽게 오해하더라고요. 그들이 자신에 대한 싫어하거나 비판으로 생각하는 것으로 생각하다라고요. 부모에게 사랑받지 못한다고 느끼는 자녀는 부모의 감정적 거부에 대해서 너무 두려워 해요. 심지어 생명의 위협으로 느끼는 경우도 있다고 해요. 그리하여 자녀는 또다시 거부당하지 않기 위해서 부모의 말을 가슴에 새겨요. 뿐만 아니라 주변 사람들도 자신에 대해서 부정적으로 생각하다고 지레 짐작해 버리더라고요. 사실 저자의 설명은 멀리 찾을 필요할 필요없죠. 우리 역시 그러니까요.

이제 더 이상 우리는 스스로 더 나은 사람이 되기 위해서 노력하기보다 사랑받을 만한 존재라 사실을 받아들이고 인정해야 될 것 같아요.

이제 스스로 우리 자신에게 바보, 넌 안 돼 등 같은 표현을 하지 말아요. 이런 표현은 스스로 난 그런 사람이라고 말하는 것과 같아요. 이제부터 자신에 대해서 긍정적인 표현으로 우리의 자존감을 높여보아요.

 

[이 글은 출판사로부터 책을 제공 받아

자유롭게 작성한 것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