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리는 왜 쉬지 못하는가 - 쉼이 있는 삶을 위하여
이승원 지음 / 돌베개 / 2022년 11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오늘은 여러분과 함께〈우리는 왜 쉬지 못하는가>에 대해서 나눠 보려고 해요. 쉼이 왜 사라졌는지와 어떻게 하면 쉼을 되찾아올 수 있는 지에 대해서 이야기해 주고 있다.

 

책의 구성은

 

1장 왜 잘살려고 할수록 불안해지는가?,

2장 일과 소비에 대하여 착각하는 사람들, 3장 우리는 언제 편안함에 이를 수 있을까? ,

4장 빼앗긴 쉼을 되찾기 위해서' 등의 순으로 총 4개의 목차로 구성되어 있다.

 

   
저자는 우리 사회에 대해서 성과사회, 피로사회, 부채사회라고 말한다.

 

성과사회는 누군가에 의해서 안락함이 보장되는 매우 불평등한 사회를 의미한다. 성과사회는 머릿돌과 같이 피로사회와 부채사회로 연결된다.

 

쉼은 여가, 레저, 또는 필요한 자원에 언제든지 접근할 수 있는 상태를 의미한다. 실업은 노동을 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기도 하지만 결국 실패한 상태를 의미한다.

 

사람들은 오늘도 당장 자신의 눈 앞에 보이는 일을 성공하면 모든 문제가 해결될 것처럼 말한다. 하지만 실상은 그렇지 않다. 이런 착각을 지향하면 지향할수록 좌절하고 더욱 욕망을 실현할 수 없는 상태 가운데 빠져들게 된다.

 

저자의 주장대로 과잉 노동은 자유롭고 창조적인 비노동 시간을 줄어들게 만들고 개인과 사회를 좌절감과 불안감으로 사로잡히게 만든다. 쉰다는 것은 단지 일을 하지 않는 상태를 의미하는 것이 아니라 기대와 기쁨과 셀렘 등의 감정 가운데 놓인 상태를 의미한다.

 

저자는 쉼이란 인간이 정한 인위적이고 외부의 힘에 의해서 강제로 억누리는 상태로부터 벗어난 자유로운 상태라고 말한다. 이 표현이 상당히 인상적인 것 같다. 사실 쉼은 우리에게 소중하다. 안타깝게도 우리는 쉼 없는 사회를 살아가고 있다.

 

쉼이 있는 사회는 무성한 숲과 같아서 무호한 경쟁과 차별 없이 평등한 관계를 이룰 수 있다. 하지만 지금과 같이 쉼 없는 사회를 계속해서 지향하게 된다면 더욱 숨막히고 피로로 무너지는 사회로 이어지게 될 것이다.

 

저자의 주장대로 우리는 매일 반복되는 노동의 피로감으로부터 벗어나기 위해서 일을 잠시 멈춰야 한다. 그때 비로소 무의미한 경쟁과 매일 매일 반복되는 노동이 정말 자신을 위한 것인지에 대해서 객관적으로 확인해 볼 수 있기 때문이다. 이런 사실을 확인해 보기 위해서 저자의 주장대로 잠시 멈춰야 한다. 이 후 지금과 달리 우리는 죽음과 같은 삶에서 벗어날 수 있다. 하루 속히 저자의 주장을 대로 확인해 보고 싶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