보통의 존재 : 코멘터리 북 - 이석원과 문상훈이 주고받은 여덟 편의 편지
이석원 지음 / 달 / 2025년 10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보통의존재코멘터리북 #이석원 #문상훈 #달 

<보통의 존재> 존재감이란 무엇일까. 15년이 지나도 여전히 읽히고 요즘 제일 핫한 문상훈과 이 책에 대한 대화를 나눌 수 있을 만큼 이야기거리가 유효한 우리만의 책이 아닌가 싶다. 그렇다고 이런 인기를 당연하다고 여기지 않지만 그렇다고 일부러 겸손하게 아닌 척 하지도 않는다. 15년이 지난 지금을 겪는 보통의 삶과 고민을 적절하게 솔직하게 풀어내고 있다. 말 그대로 이 책 답다. 

"유독 이삼십대 젊은 독자들이 석원님의 책을 사랑했떤 이유는, 누구나 가지고 있지만 명쾌하게 표현하지 못했던 불안이나 이기심 같은 감정들을 책에서 솔직하고 공감가는 표현들로 이불 빨래 털 듯이 시원하게 털어놓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합니다." 13쪽

"하지만 본질보단 표현이 훨씬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는 입장에서, 어느 정도 삶의 테크닉은 필요하지 않을까요? 그래서 상훈님도 자기혐오를 제 포장의 수단으로 쓰시고, '아직도 사랑을 잘 모르겠다'며 눙을 치는 것으로 사랑을 갈구하시듯, 저 역시 보고 싶은 사람일수록 더 쳐다보지 않는 나름의 삶의 전략을 구사하며 살아왔던 건 아닐까요?"

20년 나이 차이가 무색하게도 서로의 고민과 나눔은 비슷한 지점이 있다. 대중 앞에 결과물을 선보여야 하는 창작자 입장에서 이들은 자신을 꾸미고 드러내는 일에 기본적인 우울감을 느끼는 듯하다. 정도의 차이가 있겠지만 우리도 사회적 가면을 쓰며 연기를 하며 살아가고 인생의 쓴맛 앞에 휘청거릴 때가 있다. 서로 다른 시간대에 서 있는 두 사람, 이들의 대화를 지켜보는 독자들. 다들 각자의 현장에서 ‘보통의 존재’로 살아내기 위해 고군분투한다. 그들의 질문과 답변의 편지가 마치 우리 복잡한 마음의 결을 하나씩 펼쳐주듯 섬세하게 어루만져준다. 

"이만하면 마지막으로 제게 물으신 '15년 전 처음 책을 쓸 때의 저와 지금의 저는 어떻게 다르고 또 어떻게 여전한지'에 대한 답이 됐을까요. 이렇게 평생 겁쟁이로만 살다 생을 마감할 줄 알았는데 뜻밖에 이 나이에도 용기를 낼 줄 알게 됐으니 이 정도면 조금은 다른 사람이 된 것 같고, 그러면서도 여전히 흥행에 대한 불안을 완전히 놓지는 못하는 걸 보면 여전히 저 같기도 하니 말입니다." 62쪽

여전히 저 같다는 작가의 말은 세월이 흘렸어도 자기 자신을 놓치지 않고 살고 있다는 말로 들린다. 책제목 그대로 딱 '보통의 존재'이다. 무얼 더 갖추려기보다 여전히 자기 같은 모습을 발견하며 사는 것도 괜찮은 것 같다. 

*출판사 제공 도서로 쓴 리뷰입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