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일과 소명 - 영원으로 이어지는 이 땅의 삶
존 레녹스 지음, 정효진 옮김 / 아바서원 / 2025년 7월
평점 :
#존레녹스 #일과 소명 #아바서원 #서평단 #북서번트
우리는 자주 일을 ‘먹고살기 위한 것’으로 축소한다. 하지만 존 레녹스는 “일은 인간이 타락하기 전에 받은 첫 번째 선물”이라고 말하며, 우리의 노동이 신의 창조 행위에 참여하는 방식임을 일깨운다. 이 문장은 오래된 신앙의 교리를 새삼스럽게 현실로 끌어올린다. 일상 속 피로와 무의미감이, 신의 창조 세계 안에서 새롭게 호흡을 얻는 순간이다.
레녹스는 과학자답게 명확하고 논리적으로 말한다. 그는 ‘소명’(calling)을 단순한 직업적 선택이 아닌, 하나님이 주신 질서에 대한 응답으로 정의한다. 우리는 일터에서 단지 일하는 사람이 아니라, 창조의 질서를 회복하는 사람이라는 것이다. 따라서 ‘좋은 일’은 반드시 ‘거룩한 일’이 되어야 하며, 그 기준은 세상의 성공이 아니라 신의 부르심에 얼마나 성실히 반응했는가에 있다. 이 문장을 읽는 순간, 내 일의 방향이 ‘성과’에서 ‘의미’로 바뀌는 경험을 한다.
책은 일터를 ‘영적 전선’으로 본다. 세상과 믿음이 만나는 경계에서, 우리는 신앙을 실험하고 증언한다. 레녹스는 신앙과 이성이 대립하지 않는다고 하면서, “신앙은 도피가 아니라 현실을 더 깊이 꿰뚫는 힘”이라고 말한다. 일터에서 정직함과 책임감, 그리고 사랑을 실천하는 것은 곧 복음을 드러내는 일이다. 그는 이윤을 내는 행위조차도 ‘타인을 섬기는 통로’로 재해석한다. 이런 사유는 노동을 신학적으로 회복시키는 동시에, 현실적 실천으로 이끈다.
읽는 내내 마음이 정화되는 느낌이 든다. ‘내 일은 왜 이렇게 무의미할까’ 고민하던 사람에게 이 책은 답을 주지 않는다. 대신, 질문의 뿌리를 바꿔 놓는다. “나는 왜 일하는가?”에서 “나는 누구의 부르심에 응답하고 있는가?”로. 이 단 한 문장의 전환이 인생의 무게중심을 옮긴다. 그것이 존 레녹스가 말하는 소명의 신비다.
《일과 소명》은 ‘일’이라는 세속적 행위를 ‘소명’이라는 거룩한 언어로 번역하는 책이다. 이 책을 읽고 나면, 출근지옥으로 여겼던 일터에 관한 새로운 시선이 생긴다. 하나님이 나를 통해 세상을 다스리시는 장소, 즉 작은 성전이 된다. “당신의 일은 하나님이 당신에게 맡기신 세상의 한 조각이다.” 일상을 견디는 힘이 생기고 일상을 예배로 바꾸는 능력을 얻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