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한민국에서 일하는 엄마로 산다는 것 - 일도 잘하고 싶고, 아이도 잘 키우고 싶은 당신을 위한 따끔하지만 가장 현실적인 조언 33
신의진 지음, 김경림 엮음 / 걷는나무 / 2014년 2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나는 얼마전 출산을 했다. 그리고 퇴직을 한 상태이다. 그런 나에게 육아는 행복하고 힘들기도 한 존재이다. 가정을 이루고 아이가 태어나니, 내가 경험해보진 못한 일들뿐이었다. 정말 생각처럼 되지 않는 것이 육아이고 결혼생활이라는 것을 확연히 느끼고 살아가고 있는 요즘이다. 내가 가진 능력은 전문직이 아니어서, 사실 저자처럼 복직이라는 것을 꿈꾸기는 어려웠다. 이런 나에게 이 책은 다른 길을 제시한 책이기도 하다. 나 또한 아이도 잘키우고 일을 하게 된다면 일도 잘하는 엄마가 되고 싶다. 두마리 토끼를 다 잡고 성공하고 싶은 욕심이 생겼다.

아이가 아프면 엄마는 죄책감이 든다. 누구나 죄책감에 나때문에 아프다고 엄마는 늘 생각한다. 하지만 아이가 아픈건 엄마때문이라고 아이는 생각하지 않는다고 한다. 일하는 엄마에게 아이가 아프면 내가 일을해서 아이를 잘 돌보지 못한다는 생각을 하게 된다고 하는데 전업주부인 내가 생각해도 당연히 그렇게 느낄 것이다. 하지만 저자의 말대로 죄책감을 느낄 필요는 없다. 엄마가 집에 있어도 아이는 아프기 때문에 꼭 일을 해서가 아니라는 말이다. 많은 공감을 불러일으키는 말이다. 엄마가 집에 있어서 아이가 아프지 않다면 엄마들은 일을 하지 않을것이지만, 그렇지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특히, 저자는 틱장애를 가진 큰아이 때문에 보통의 엄마들보다 퇴직을 더욱 많이 생각했을 것이다. 하지만 지금은 치료도 잘 받은 덕에 잘 크고 성장했다고 한다.

그리고 이 책을 읽으며 내가 가장 많이 생각이 바뀐 부분이 있다. 남편을 '방관자'로 만들지 말라는 것이다. 세상에서 아이를 가장 잘 이해하고 잘 돌볼 수 있는 사람은 엄마뿐이라고 생각한다. 하지만 엄마가 일을 할 수 도 있고 여행을 갈 일이 생기면 아이를 돌봐줄 사람이 필요한데, 엄마가 아빠의 서툰 아이보는 방식을 못미더워 할 것이다. 하지만 이것은 나만의 착각이다. 아이도 아이 나름대로 적응력이 생기고, 아빠도 처음에는 어려워하고 잘 못하지만 엄마가 일일이 간섭하고 잔소리 하지 않는다면 아빠 나름대로 방법도 터득하고 행복감도 맞보게 될 것이라는 것을 배웠다. 나는 남편이 아기를 봐줄때마다 이렇게 안지마라. 우유병을 잘 들어줘라. 기저귀 갈때 이렇게 하지마라. 늘 못미더웠고 지적하기에만 바빴다. 생각해보니 아이를 키우며 엄마가 자리를 비울 때 엄마를 대신하여야 할 가장 가까운 존재가 아빠가 될 수 있게 지켜봐줘야겠다는 생각으로 바뀌었다. 아마도 이런부분을 몰랐다면 아직도 지적해서 남편은 육아를 하기 싫어할 것이 분명했을 것이다. 아이도 늘 내가 하루종일 보는 사람이 되어있을 것이다.

전문직이라서가 아니고 꼭 일하는 엄마를 생각하게 된 저자의 이야기가 가슴에 와 닿는다. 경제적인 부분만이 아니라 엄마라는 개인의 독립된 사람으로서 사회생활을 해서 얻는 것들이 있기 때문이다. 사실 나는 전업주부와 일하는 엄마에서 고민이 많다. 아이가 두돌이 되는 시점부터 일을 다시 할 계획이다. 이 책을 통해 용기도 얻고 먼훗날 내 자신을 위해서라도 일하는 것이 좋을것이라는 생각을 다짐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