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기억한다는 착각 - 나는 왜 어떤 것은 기억하고 어떤 것은 잊어버릴까
차란 란가나스 지음, 김승욱 옮김 / 김영사 / 2025년 3월
평점 :
■ 『기억한다는 착각』 - 기억의 기본원리에 대해 알기 쉽게 풀어낸 책. 그러나, 초보자에겐 이런 난이도도 쉽지 않다. 생소한 단어들을 곱씹으며 한 페이지 한 페이지 넘기다 보니 조금씩 희미한 불빛이 보이기 시작한다. 나이가 한 살 더 들 때마다 기억력은 기하급수적으로 감소되는 느낌이 들어 항상 당황했었다. 건망증도 심해지고 책에서처럼 내가 왜 주방에 왔지? 하고 고개를 갸우뚱하는 것이 일상인 삶이 되고 있다. 이 책은 그러한 현상이 자연스럽고 과학적인, 단지 뇌 속에서 일어나는 과학적 현상이라고 위로해 준다.
■ 기억의 왜곡이 가능하다는 사실에 놀랐다. 이 책을 조금 일찍 접했더라면 하는 아쉬움이 남는다. 아이들을 키우기 전에 알았다면 너무 좋았을 것 같다. 적은 분량이 나오긴 하지만 한국의 엄마들이 본다면 깜짝 놀랄만한 내용들이 담겨 있다.
『그때 엄마가 그 각각의 조각에 반응하는 방식이 아이의 기억과 아이 자신에 대한 감각을 바꿔놓을 것이다. (293p)』
엄마와 아이 사이의 일상적인 상호작용이 아이가 과거를 기억하는 방식에 영향을 미친다는 사실이 놀랍기만 하다.
■ 기억의 오염도 가능하다는 사실엔 소름이 끼친다.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심리요법 등의 선한 의도로 사용된다면 선순환되는 좋은 역할을 하겠으나 자칫 의도를 가지고 범인으로 몰아가기 등이 수사기관에 의해 남용된다면 사회의 신뢰도는 급격하게 추락할 것이다. 문제는 그러한 기억의 오염이 충분히 가능하다는 사실이다.
■ 「머니 볼」에 대한 내용도 나와서 흥미로왔다. 영화로 제작된 「머니 볼」을 몇 번이나 N차 관람하였기에 그 감동은 여전하다. 벼락치기 보다는 적당한 휴식을 뇌에게 주는 것이 가성비가 더 좋다는 사실과 중간중간에 쪽지 시험을 보는 것이 학습력 향상에 더 도움이 된다는 내용 등 학부모들이 안다면 흥분할 부분이 꽤 있다. 어쨌든, 책 제목과 책의 디자인 및 컬러감이 좋은 책은 예상을 빗나가지 않는다. 내용도 Good이다.
[책 속에서 인상 깊은 문장 인용]
■ 우리 뇌가 항상 변화하는 세상을 헤쳐 나갈 수 있게 설계된 탓에 기억은 변형되고 쉽고 때로는 부정확하다. (15p)
■ 에빙하우스의 연구 결과에 약간의 한계가 있긴 하지만, 그가 밝혀낸 기본적인 사실은 변하지 않는다. 우리가 지금 경험하는 일 중 많은 부분이 하루도 안 돼서 잊힐 것이라는 사실 말이다. (25p)
■ 우리가 매일 어떤 일을 기억해 내거나 기억해 내지 못할 때, 전전두엽피질이 주역을 담당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이 피질의 수많은 기능 중 하나는 의도를 지닌 학습을 돕는 것이다. (34p)
■ 최고 경영자, 즉 CEO의 임무는 전문가가 되는 것이 아니라, 이 모든 부서의 활동을 조정해서 전 직원이 공통의 목표를 향해 나아가도록 회사를 이끄는 것이다. (43p)
■ 어떤 방에 들어갔는데 애당초 왜 들어왔는지 도무지 기억이 안 나는 경험을 한 적이 있을 것이다. 이건 기억에 문제가 생긴 탓이 아니다. 기억을 연구하는 사람들이 ‘사건의 경계선’이라고 부르는 현상의 정상적인 결과다. (78p)
■ 과거를 돌아볼 때 우리는 특정한 시기 즉 열 살부터 서른 살 사이에 초점을 맞추는 경향이 있다. 이 시기의 기억이 이렇게 우세한 것을 ‘회고 절정’ 이라고 부른다. (82p)
■ 그는 야구 통계에서 패턴을 찾아내 위대한 선수와 이기는 팀을 식별해 내려고 했다. (95p)
■ 기억에는 과거와 현재가 모두 반영된다고 할 수 있다. 회상하는 순간에 생각과 동기가 과거 기억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뜻이다. (130p)
■ 스트레스 상황에서 코르티솔의 양이 치솟으면 그 상황 직전이나 직후의 일을 기억하는 능력이 향상될 수 있다. (154p)
■ 도파민의 이런 기능 때문에 때로 우리는 오로지 상실감에서 벗어나기 위해 아무런 즐거움 없이 일만 열심히 하는 쾌락의 트레드밀에서 벗어나지 못하는 신세가 되기도 한다. (162p)
■ 이처럼 잘못된 환경에 있으면 중독의 재발이라는 악순환 속으로 빨려 들어갈 수 있다. (169p)
■ 흥미로운 반전은, 해마가 의식적인 일화기억을 끌어내는 일보다 사람들의 시선을 유도하는 일에 조금 더 유능했다는 점이다. 해마와 전전두엽피질이 통신을 주고받지 않는다면 사람들은 따끔거리는 거미 감각을 느끼기만 할 뿐 그 원인이 무엇인지 지목할 수 없다.
(206p~207p)
■ 한 조사에 따르면, 미국인 여섯 명 중 한 명은 자신이 태어난 주를 떠난 적이 없다. (225p)
■ 물리적 시간여행이 피드백 고리를 만들어내 현재나 미래를 바꿀 수 있는 것처럼, 과거 사건을 회상할 때의 정신적 시간여행에도 비슷한 원칙이 적용된다. 과거를 떠올리며 기억에 새로운 요소를 첨가하면 과거가 바뀔 수 있다는 뜻이다. (230p)
■ 사람이 진짜 기억과 이식된 기억을 구분할 수 있다는 사실은 우리가 기억을 갱신할 때조차 자신의 기억을 감시해서 사실과 픽션을 구별하는 능력이 있음은 시사한다. (247p)
■ 기억을 꺼낸 순간부터 기억의 강화, 약화, 수정이 가능하다는 사실 은 이미 알려졌다. 이런 식의 기억 갱신이 바로 심리요법의 핵심이며, 심리요법은 기본적으로 과거에 만들어진 신경연결을 바꾸는 것이다.
(258p)
■ 기억을 떠올리면서 과거를 바라보는 시각을 바꿀 수 있다면, 고통스러운 기억을 갱신해서 비교적 참을 만한 기억으로 바꿀 수 있을 것이다. 어쩌면 이런 변화가 심지어 성장으로 이어질지도 모른다. (259p)
■ 우리 뇌는 실수와 도전에서 교훈을 얻도록 만들어져 있다. 이것은 ‘실수 기반 학습’이라고 부른다. (263p)
■ 그러나 뇌가 적극적으로 고민할 기회를 주는 것이 학업 성취도를 높이는 데에도, 그렇게 배운 정보를 오랫동안 기억하는 데에도 도움이 되는 것 같다. (269p)
■ 몇 시간 동안 쉬지 않고 벼락치기를 하느니 같은 시간을 여럿으로 쪼개서 중간에 휴식 시간을 두는 편이 대체로 훨씬 더 가성비 높다는 것을 보여주는 심리학 연구 결과가 정말로 산더미만큼 쌓였다. (275p)
■ 수면 연구자 매슈 워커의 말을 다음과 같이 조금 달리 표현해 보았다. “잠 덕분에 우리는 기억을 지혜로 바꿀 수 있다.” (282p)
■ 기억하는 자아를 잘 알게 되면, 기억하는 과정에서 적극적으로 움직이면서 과거의 족쇄에서 스스로를 해방시킨 뒤 오히려 과거를 안내인 삼아 더 나은 미래로 향할 기회를 잡을 수 있다. (322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