피터의 의자 네버랜드 Picture Books 세계의 걸작 그림책 45
에즈라 잭 키츠 글, 그림 | 이진영 옮김 / 시공주니어 / 1996년 6월
평점 :
구판절판


 

 

 아이들을 키우다보면 피터와 같은 행동을 하는 경우를 종종 보게 된다. 혼자일 때 부모님의 사랑을 독차지하다 동생이 생기면 왠지 그 사랑을 동생에게 뺏겼다고 생각하는 것이다.

 

 피터도 여동생이 생겼고, 그 여동생에게 부모님이 자신이 쓰던 물건들을 다 준다고 생각한다. 자신이 쓰던 요람부터 침대, 식탁의자, 등 모든 것을 분홍색으로 칠하는 부모님을 보면서 말이다.

 

 그러다 의자 하나가 아직 칠을 하지 않은 것을 보고는 피터가 언능 그 의자를 가지고 집 밖으로 나간다. 그리고는 그 의자에 앉아 쉬려고 하는데, 이런! 피터가 많이 성장해 선지 의자에 앉을 수 없게 된다. 그래서 피터는 그 의자를 자신의 여동생에게 주려고 마음 먹는다.

 

 피터가 스스로 그 의자를 분홍색으로 칠까지 하면서 동생에게 주라고 부모님께 말한다. 아마도 이러면서 더 성숙해지는 것이 아닌가 생각된다.

 

 이처럼 혼자 자라는 아이들을 볼때면 가끔은 자신만 알까봐 걱정이 되기도 한다. 개인적으론 최소한 둘은 되어야 양보심이라든가 상대방을 위한 배려를 배우지 않을까 생각된다. 또한 둘일 때 나중에 큰 일을 치르는데도 서로 의지가 될 것이다.

 

 형제를 키우는 우리집은 이 책을 보면서 서로에 관해 좀 더 생각하는 시간이 되었다. 누구나 항상 같이 있다보면 서로의 소중함을 잊고 산다. 하지만 이런 책을 통해서 서로의 소중함을 다시금 느낄 수 있다면 이보다 좋은 경험이 있을까 생각한다.

 

~~~~~~~~~~~~~~~~~~~~~~~~~~~~~~~~~~~~~

 

[저자소개]

 

저 : 에즈라 잭 키츠

Ezra Jack Keats 그는 10년간 다른 작가의 책의 일러스트를 맡아왔다. 그러다가 1960년에 Pat Scherr와 함께 창작한 『My Dog is Lost』라는 그림책을 만들었고 , 이년 후 그는 처음 글을 쓰고 그림을 그린 『눈 오는 날』(1962)로 미국에서 그 해 가장 뛰어난 그림 책에 주는 칼데콧 상을 받았다. 『눈 오는 날』은 흑인 꼬마가 주인공으로 등장한 최초의 그림책이었다. 그는 계속해서 그림책에 주인공 피터의 생활을 소재로 피터가 성장하면서 겪는 내면과 생활의 이야기를 그리기 시작했다. 휘파람 불기를 연습하는 『휘파람을 불어요 (피터의 휘파람)』(1964), 새 여동생이 생긴 피터의 내면을 다룬 『피터의 의자』(1967), 여자친구 에이미와 피터의 이야기를 다룬 『피터의 편지』(1968), 칼데콧 아너상 수상작『피터의 안경』(1969) 이 그러하다. 그는 그 밖에도 『Hi, Cat!』(1970), 『Pet Show!』(1972), 『Skates!』(1973), 『Dreams』(1974), 『Louie』 (1975), 『The Trip』(1978), 『Maggie and the Pirate』(1979), 『Louie's Search』(1980), 『Regards to the Man in the Moon』(1981), 『Clementina's Cactus』(1982) 등 다수의 작품을 남겼다.

그가 흑인아이를 주인공으로 삼은 것을 인종 문제에 민감해서는 아니었다. 그는 1940년 5월 13일 Life 잡지에서 본 흑인 어린이의 사진을 계기로 자신의 가난했던 어린시절의 모습을 떠올리며, 혁신적인 화법으로 전형적인 서민의 일상을 있는 그대로 표현해 독자와의 공감대를 형성한 것이다. (그는 실제로 흑인 어린이의 사진을 자신의 작업실에 놓고, 두고두고 보며 옛 기억을 회상하며 미소를 지었다고 한다.)

그의 그림책은 흑인 소년을 주인공으로 한 것 뿐 아니라, 콜라주, 마블링 등 혁신적인 그림 기법을 사용함으로써 어린이책 세계에 신세계를 열었다. 그의 작품은 그 동안의 일러스트레이션의 주재료였던 물감, 색연필에서 벗어나 생활 속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잡지, 포장지, 천 등을 재료로 사용하고, 『꿈꾸는 아이』에서는 물과 기름의 오묘한 조합을 사용하여, 주인공 로베르토의 경험과 상상에 다양함과 재미를 더한다. 그의 독특한 그림기법은 우리 주변에서 흔히 볼 수 있는 평범한 주인공의 일상의 이야기에 색채효과를 더하면서 일상에 긴장감을 주고, 감동을 더하는 작용을 한다.


에즈라 잭 키츠는 이렇게 말했다.

"내가 어린이책을 만드는 목적은 실제에서 환상까지 나의 모든 경험을 아이들과 나누기 위해서이다. 나는 그 아이가 누구든 자신을 중요한 존재로 느끼며, 희망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나는 그 아이가 누구든 자신을 중요한 존재로 느끼며, 희망을 가질 수 있다는 것을 보여주고 있다."

그는 1983년 심장마비로 세상을 떠나기까지 80여점의 일러스트와 24권의 이야기와 그림책 속에 가족의 삶과 아이들의 일상에서 오는 단순한 즐거움을 선사하며 아이들에 대한 자신의 사랑을 표현하고자 했다.

 

 

역자 : 이진영

 

성심여자대학교 영어영문학과를 졸업했다. 출판사에서 어린이책을 만들다가 지금은 어린이책 전문 편집 일과 번역 일을 하고 있다. 옮긴 책으로는 『키스의 미학』, 『요정과 구두장이』,『신기료 장수 아이들의 멋진 크리스마스』,『피터의 의자』들이 있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0)
좋아요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