날마다 하나씩 버리기 - 아무것도 못 버리는 여자의 365일 1일 1폐 프로젝트
선현경 지음 / 예담 / 2014년 8월
평점 :
장바구니담기


 

 

 

 이 책을 보고 난 뒤 집 안을 둘러보게 되었다. 그런데 집 안에 항상 그 자리에 있던 물건들이 달라 보였다. 그리고 나도 조금씩 정리해 나가리라 다짐해 본다.

 

 우리들이 살면서 집안의 물건들이 점점 늘어나는게 일상적인 일일 것이다. 하지만 이런 물건들을 쉽게 버리지는 못하는 것 같다. 버리려고 마음먹고 물건들을 보면 버리지 못하는 이유가 그렇게 많아지는지, 가령, 나중에 쓸지도 몰라서 못 버리고, 아까워서 못 버리고 등등 이유가 참 많다.

 

 물건을 정리하려면 기준이 있어야 한다. 개인적으로는 1년 동안 한 번도 쓰지 않는 물건들은 앞으로도 크게 쓸 일이 없다고 생각하고 과감하게 버리려고 한다. 그러지 않는다면 집안에 쓸데 없는 물건들로 넘쳐나지 않을까 걱정도 된다.

 

 한 다큐멘터리에서 호더들에 관한 방송을 한 적이 있다. 허더란 죽어도 못 버리는 사람들을 말한다. 이 다큐멘터리에 나오는 사람들은 바깥에서 신문, 폐지, 플라스틱, 고철, 빈 병, 나무, 광고 전단지 등 남이 쓰레기라고 부르는 것들을 집 안으로 들인다. 그리고 쌓아두기만 할 뿐 절대로 버리지 않는다. 쓰레기 더미 같은 잡동사니 속에서 그들은 편안함을 느끼고 위로를 받는다.

 

 이렇게 물건에 집착하고 수집해서 저장하는 행위를 호딩, 그런 사람을 호더라고 부른다. 모두 저장강박이라는 정신장애에서 비롯된다고 한다. 소유에 점령당한 사람들, 그들은 어쩌다가 이렇게 되었을까?

 

 그들도 처음부터 저장에 강박 증세를 보인 것은 아니었다. 어디에선가 자신이 받은 상처와 고통을 달래기 위해, 아니면 숨기기 위해 어마어마한 물건들을 방패로 삼은 것이다.

 

 이 다큐멘터리를 보면 너도 나도 저렇게되지 않을까하는 생각도 들 수 있다. 그러니 저렇게 되기 전에 이 책을 보고 집 안의 물건들을 하나씩 정리해 나가면 좋을 것이다.

 

 이 책의 작가처럼 일단 옷장을 열어서 자주 신는 양말과 신지 않는 양말을 분류해서 양말부터 하나씩 매일 정리해 나가면 언젠가는 집 안이 깨끗해지고 쓸데없는 잡동사니도 정리 될 것이다.

 

 

 

[저자소개]

 

저 : 선현경

홍익대 도예과를 졸업한 뒤 그림 그리고 글 쓰는 일을 하고 있다. 하지만 그보다는 만화가 남편 이우일과 두 사람을 꼭 닮은 딸 은서, 그리고 고양이 카프카, 비비와 하루 24시간 낙지처럼 딱 붙어살면서 그들을 관찰하고 집안일을 하는 데 더 많은 시간과 공력을 들이고 있다. 무엇이든 사는 것을 좋아하는 쇼핑 마니아 남편을 시시때때로 감시하고, 고양이들의 똥을 치우며, 학원에 가지 않아 시간이 많은 딸과 함께 놀 때마다 이렇게 쉬운 일이 행복이구나 싶다. 지금처럼 가족과 틈틈이 여행을 가고, 나이가 들어서도 글 쓰고 그림 그리는 할머니가 되고 싶은 것이 근래 소망이자 장래 희망이다.
결혼 후 남편과 떠난 일 년간의 신혼여행의 기억을 담은 『이우일 선현경의 신혼여행기 1, 2』를 썼고, 그 후 『이모의 결혼식』, 『세상에 단 하나뿐인 나만의 명화집』, 『선현경의 가족 관찰기』, 『황인숙 선현경의 일일일락』, 『엄마의 여행 가방』, 『처음 만나는 한시』 등의 책을 펴냈다. 이중 『이모의 결혼식』으로 제10회 황금도깨비상을 수상했으며, 일부는 초등학교 1학년 읽기 교과서에 실려 있기도 하다.

 

 

 

 


댓글(0) 먼댓글(0) 좋아요(1)
좋아요
공유하기 북마크하기찜하기 thankstoThanksTo