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풍요로운 노후를 바라보는 부동산투자 ㅣ 삼성생명 재무설계 총서 6
삼성생명 FP센터 지음 / 새로운제안 / 2011년 1월
평점 :
구판절판
주식시장과 마찬가지로 부동산시장 역시 수요와 공급의 차이 및 경제환경의 변화 등이 투자여부를 결정짓는 중요한 변수가 된다.
향후 부동산시장이 어떻게 변할지 예측하기는 쉽지 않다. 다만 예전처럼 단기간에 부동산으로 큰돈을 벌기를 기대하기는 힘들어 보인다. 따라서 만일 부동산투자를 생각하고 있다면 이러한 점을 고려하여 장기적인 관점에서 부동산투자에 대해 공부하는 한편, 부동산경기의 흐름을 꾸준히 지켜보고 판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정부의 부동산정책은 부동산시장의 흐름과 밀접한 관련이 있다. 예를 들면 수요대비 공급부족으로 부동산가격이 올라가면 대폭적인 공급확대 정책을 발표하거나 시대안정화 정책을 뒤따라 발표하는 식이다. 이런 점에서 과거 시대상황에 따른 부동산정책 변화를 살펴보면, 향후 부동산정책이 어떻게 변화할지 유추해보는 데 많은 도움이 될 것이다.
우리나라의 부동산가격은 산업 및 경제발전에 따라 꾸준히 상승해왔다. 고성장과 함께 산업용지의 수요가 증가하고, 국민소득 증가에 따라 자가주택에 대한 수요 및 더 좋은 주거환경에 대한 니즈가 커졌기 때문이다. 문제는 앞으로도 이러한 선순환관계가 유지될지는 알 수 없다는 것이다.
주택을 구입할 때는 기본적으로 자신이 어떤 조건으로 어느정도 금액까지 대출을 받을 수 있는지, 또 대출금리는 어떻게 되는지 자세히 알아보아야 한다. 이때 대출금리의 경우 급여 통장 개설 여부, 금융기관에서 권유하는 신용카드 발급 여부 등 다양한 조건별로 금리할인 혜택을 주기 때문에 대출을 받기 전에는 반드시 금융기관별 조건을 자세히 비교해보고 선택해야 한다.
부동산 취득을 고려할 때는 반드시 건폐율과 용적률을 확인 해야 한다. 특히 재건축 · 재개발사업에 있어서는 건폐율과 용적률을 얼마나 적용받느냐에 따라 투자성패가 결정된다고 해도 과언이 아니다. 물론 일반 토지에 투자할 경우에도 건폐율과 용적률을 이해하고 있어야만 투자성공 가능성을 높일 수 있다.
부동산투자에 따른 실수를 피해가기 위해서는 반드시 사전에 부동산공부를 발급받아 관련 규제사항 등을 전문가와 상의해본 후 투자 여부를 결정해야 한다. 여기서 부동산 공부란 등기부등본, 토지임야대장, 지적임야도, 토지이용계획확인원, 개발공시지가확인원, 건축물관리대장 등을 말한다.
부동산투자를 할 때는 매입가와 매도가뿐만 아니라 부수적으로 발생하는 거래비용의 규모를 반드시 점검해보아야 한다. 우선 취득부터 매각할 때까지 발생하는 취득세 · 재산세 · 종합부동산세 · 종합소득세 · 부가가치세 등의 세금부담과, 대출금을 끼고 부동산을 매입했다면 이자부담까지 고려해야 한다.
상기투자에 따른 기대효과는 크게 자본이익과 임대료수익으로 구분된다. 그런데 일반적으로 상가에 투자할 때는 자본이익, 즉 매매차익보다는 임대료수익에 비중을 크게 두게 된다.
수익성 부동산을 통한 안정적인 월수입 확보는 매력적으로 느껴지는 게 사실이다. 하지만 상권분석이나 목표수익률과 적절한 대출비율의 조절 등에 철저한 계획이 없다면 희망이 재앙으로 바뀔 수 있다는 사실을 결코 잊어서는 안 될 것이다.
~~~~~~~~~~~~~~~~~~~~~~~~~~~~~~~~~~~~~~~~~~~~~~~
[저자소개]
저자 : 삼성생명 FP센터
- 2002년 10월 보헙업계 최초로 종합자산관리 시작
- 2010년 현재 서울, 부산 등 전국 9개 주요 도시에서 재무설계 서비스 제공
- 8만 여명의 고객이 재무설계 상담 서비스 이용
- 2007년, 2009년 한경비즈니스 선정 생보분야 베스트 PB 1위
김동일
CFP(국제공인재무설계사)/CCIM(美 부동산투자분석사)
삼성생명 FP센터 부동산자문팀장
김종완
삼성생명 강북FP센터 팀장
삼성인력개발원, 고려대 도시개발자산관리과정 강사
김준희
CFP(국제공인재무설계사)
파생상품투자상담사/부동산펀드투자상담사
박재홍
CCIM(美 부동산투자분석사)
前 FP센터 부동산자문팀장, 삼성생명 강남TC 지점장
황봉구
CFP(국제공인재무설계사)
파생상품투자상담사/부동산펀드투자상담사
홍철승
CFP(국제공인재무설계사)
삼성생명 수원FP센터 팀장